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서라도 이 칩을 사용하고 싶었다(칩의 성능이 그만큼 뛰어났다). 격렬한 토론 끝에 결국 이 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완성 단계 전까지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마음을 졸여야 했다.모든 제작 과정은 토론을 통해서 결정됐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팀원들과 공유하고 의견을 모았다.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진화한 이유를 탐구한 윌리엄 해밀턴은 결국 다른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시티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학습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약은 곧 독이므로 많이 먹으면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 결국 침팬지는 부모 세대로부터 전해진 안전한 지식에 의존한다. 반면 고릴라는 웬만한 양의 독성 물질에 버틸 수 있을 만큼 덩치가 큰데다, 원래 초식을 하는 종이기 때문에 식물 독성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계속 자신이 두는 수가 가장 이길 확률이 높은 수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그러지 못했어요. 결국 알파고는 첫 패배 선언을 하고 말았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Part 3.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꼭 필요한 빛을 훨씬 적은 계산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골라낸 빛줄기가 결국 조명에서 나와 캐릭터의 표면에 부딪힌 뒤 카메라의 렌즈로 들어가는 빛인 셈이거든요. 꼭 필요한 빛만 고려하니까 계산을 줄일 수 있지요.캐릭터의 표면 위 한 점에 부딪히는 빛줄기가 많을수록 그 부분은 ... ...
-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약하게 만든답니다. 자기 몸을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략인 셈이죠.결국 우린 작은 생물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마련한 똑똑한 전략 덕분에 예쁜 분홍빛의 레트바 호수를 볼 수 있게 된 거예요. 레트바 호수는 특이한 빛깔 덕분에 2005년 11월 18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후보에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시 흑이 놓이는 경우의 수까지 계산하면 4665만 5640이라는 어마어마한 수가 나와요.결국 바둑판에서 대결을 펼치는 경우의 수는 최대 250150이라는 엄청난 수예요. 이는 우주의 원자를 다 합친 수보다 더 크답니다.사람인 바둑기사들은 보통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해요. 하지만 기계인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내가 요리사인데….”자신도 모르게 가장 먼저 ‘일요일’이라고 중얼거린 썰렁홈즈. 결국 잠시 뒤 썰렁홈즈는 바둑판을 사이에 두고 ‘바두게 다린’과 대결을 펼치게 되었다.“여기 바둑판 위에 돌 중 딱 하나만 움직여서 5개의 흑돌 2줄을 만들어 주세요!”“띠리리리-. 이상황에 맞는 말은 ... ...
- [과학뉴스] 화산 없는데 땅 밑에 웬 마그마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내렸다. 햄링 박사는 “마그마가 수백~수천 년 동안 발달해야 화산이 될 수 있다”며 “결국 식거나 그대로 굳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스’ 6월 3일자에 발표됐다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흔들었다.“로봇 씨, 정신차리세요, 로봇 씨!”연산 과부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이었다. 결국 윤정은 로봇을 등에 떠메고 낑낑거리며 계단을 오르기 시작했다. 로봇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무거웠고, 늘 높다고 생각했던 학교 계단은 오늘 따라 백 배는 더 높았다. 로봇의 발이 계단에 질질 끌려가며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