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독특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혁명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루디 러커(55·미국 산호세주립대 교수)는 몇편의 과학소설을 썼던 경력을 밑천 삼아
독특
한 통찰력을 펼쳐보인다.저자는 학교 수학의 테두리를 벗어나 수학과 일상 생활, 그리고 사고의 세계로까지 그 논점을 확대하고 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프랙탈 기하학까지, 또 수비학에서 정보 이론까지를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적외선 세상을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개구리의 회색빛 시야개구리 역시 그들만의
독특
한 세상을 두눈에 간직하고 있다. 개구리의 눈은 고정돼 있다. 고정된 눈은 움직이지 않는 어떤 사물도 볼 수 없다. 이 사실은 눈에 빛을 비출 때 나타나는 신경신호를 조사해 밝혀졌다. 즉 고정된 개구리의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다. 특히 물리학 강의록은 전세계의 수십여개국 언어로 번역될 만큼 널리 알려져 있다.
독특
한 스타일과 물리학적 직관에 의한 접근 등 매우 뛰어난 저술로 평가받고 있는 이 책이 오히려 그의 가장 대표적인 과학고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
③ 생리ㅣ 부작용 없는 치료제 약속하는 인공효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루지 못하는 염기서열들이 루프(loop, 고리모양)를 이루고 있다. RNA가 가지고 있는
독특
한 3차원적 주머니는 효소의 활성 주머니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원래 RNA는 DNA가 가지고 있는 유전인자를 단백질로 연결하는 중요한 분자이지만, 원시지구(단백질, 즉 효소가 없던 시절의 지구)에서는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외부의 누르는 힘에 잘 견디고, 쉽게 깨지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더욱이 다공성의
독특
한 구조 때문에 무게가 상당히 가볍다. 연구팀은 이런 특성을 모방해 티타늄으로 코팅된 다공성 탄소재료를 만들었다.로켓 절연체를 위해 만든 이 재료는 실제 인간의 뼈와 호환성도 뛰어나다. 뼈 대신 사용할 수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좀더 먼 미래를 내다보려는 노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단장. 그의 이력엔
독특
한 점이 있다.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 끊임없이 전공을 바꿔왔다는 것. 학부 땐 금속공학을 전공했다가 석사 때의 세부전공은 전기화학, 박사 때는 물리금속을 전공했다. 새로운 분야, 그리고 앞서 나갈 분야에 ... ...
씨 없는 수박을 보기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격이 비싼 점도 있지만 사람들이 오히려 거부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마늘의
독특
한 냄새가 없으면 음식 맛이 제대로 나지 않는다. 더구나 냄새 없는 마늘의 효과를 확신하기도 어렵다. 냄새를 없앤 대가로 몸에 좋다는 효력까지 없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고객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정제되지 않은 컬러를 쓸 필요는 없잖아요.성환_ 감독은 아비드라는 소프트웨어를
독특
하게 활용해서 색다른 효과를 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효과를 적용하지 않은 후반부의 컬러 부분은 처리가 미흡한 듯 합니다. 아직은 감독이 필름을 다루는 솜씨가 미숙한 것 같아요.응서_ 색깔 얘기가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엇갈리게 맞물려서 코일을 감싸는 것이다.철판의 모양이 어떤 역할을 하기에 이처럼
독특
한 것일까. 바퀴가 굴러갈 때를 생각해보자. 영구자석은 축에 고정돼 있어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하는 바퀴와 함께 코일과 철판은 돈다. 이때 각 철판의 여러개 핀이 반복적으로 영구자석의 바깥 둘레에 ... ...
원시인류는 흰개미를 먹었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갖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단백질을 섭취할 때 나타나는
독특
한 형태의 탄소(C4)가 원시인류의 유골에 상당량 함유돼 있는지에 대한 해답도 제시했다. 도구를 사용해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게 함유된 흰개미를 섭취 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