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행동, 콘텐츠, 방법론 등 프로토타입(초기모델)을 연구 한다”고 설명했다. 경험디자인이 로봇개발에 하나의 이정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디자이너와 엔지니어, 제품 개발자들이 함께 세운 ‘사용자경험’이라는 무대 위에서 한동안 계속 뜨거워질 전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의 경험이 ...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사람을 조종한다는 설정이 허무맹랑하게만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초소형로봇으로 뇌를 조종한다는 내용은 게임 ‘나노브레이커’에서도 나온다.2002년 과학전문지 ‘뉴사이언티스트’ 10월 19일자에도 비슷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자들 사이에서 일명 ‘좀비 뇌’로 불렸던 미니브레인 칩이다. ...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활용한 사례는 우리가 처음”이라며 “이미 상용화 직전 단계까지 연구한 만큼 비행로봇이 전국 물놀이 여행객들의 안전을 지킬 날이 곧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 기초과학 위에 세운 첨단 공학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초기암 검출용 영상진단기기, 신체신호 분석과 통신, 혈액진단용 초소형 의료소자, 수술로봇 및 재활치료시스템, 암진단과 치료용 나노의약, 신경 및 척추 질환 진료기술과 같은 창의적이면서도 유용한 의료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의학적 기초와 응용의 맞춤 교육의료시스템학은 선진국형 ...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느끼게 되는 거부반응이다. 차라리 곰 인형을 뒤집어씌웠더라면 친근하게 다가왔을 로봇이 사람 얼굴 가죽을 뒤집어씌우자 괴물로 느껴졌다. 우리와 닮았지만 우리가 아닌, 이런 존재는 우리 정체성을 위협한다. ‘나도 결국 저런 존재가 아닐까’하는 불쾌감과 거부감, 그리고 공포심이 투사된 ...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무엇일까?세바스찬 승 Vs 유범재 Vs 오세영▶“인간처럼 생각하고,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뇌가 필수적이지만 아직 과학자들은 뇌의 외곽만을 맴돌고 있다.”MIT 뇌 및 인지과학자 세바스찬 승(한국명 승현준) 교수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컴퓨터 연구의 최전선에 있다. 그가 개발한 ... ...
- 집적시스템 설계공학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끊임없이 생기면서 더 빠르고 효율적인 집적시스템을 설계하려는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로봇산업에서도 집적시스템 발전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서 전공생들의 취업 전망은 매우 밝다. 특히 세계적인 국내 기업에서 우수한 전공생을 모집하고 ...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우리나라의 유일한 지능로봇 전문 독립 연구기관이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로봇산업에서 선도 역할을 하고 있다.한편 세계 최고의 기초과학연구소인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가 포스텍에 들어올 예정이다.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의 이름을 딴 ... ...
- “인문, 과학 균형잡힌 인재 선발”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것인가?전공에 대한 열정을 서류에 표출하는 학생이 많다. 우주 쪽으로 공부하겠다든지, 로봇을 공부하겠다든지 하는 꿈을 갖고 있는 것은 좋다. 그러나 GIST는 연구를 잘 할 수 있는 재목을 기르는 것이 목표다. 전공에 조급해 하지 말고 수학·과학 기초를 탄탄히 다지는게 중요하다. 후에 전공을 ...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의해 감정을표현하는 것이죠. 진짜로 감정을 느끼는 것은 아니에요. 실제로 감정을 가진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답니다.기계들끼리도 대화한다?미국의 타임지는 2009년 최고의 발명품으로 ‘사물의 통신(The internet of things)’을 선정했어요. 사물의 통신이란 모든 사물이나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