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사고
사변
사태
업무
일거리
비상상태
d라이브러리
"
사건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가치와 위험요소를 정확히 파악하는 금융전문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사건
이었다. 특히 세계 금융시장에서 ‘금융상품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금융전문가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전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T)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금융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유전 물질을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생식’(reproduction)이라는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사건
을 담당한다.생식세포는 전분화능을 가진 세포로 변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로부터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생산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 최근 하버드대 줄기세포연구소 조지 데일리 교수팀은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오랜 공직생활로 쌓은 전문성을 인정받으며 이성적 지지를 받았지만 아들의 병역비리
사건
이 터지며 인기가 떨어졌다. 체계처리과정에서 새로운 정보가 입력되며 이전의 정보가 지워진 것.감정에 치우치려는 유권자를 내실 있는 공약으로 사로잡고 싶다면 체계처리를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1992년 ... ...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으악! 이건 말도 안 돼!”바닷가를 뒤흔드는 날카로운 비명 소리!괴물이라도 나타난 걸까? 한가롭게 바다에서 낚시를 즐기던 닥터고글은 초긴장 상태 돌입!“오 ... !”엥? 헬륨 풍선 타고 뒤쫓아 오는 다나카 상까지! 닥터고글,
사건
을 해결하고도 복잡한 사랑
사건
에 휘말리는 건 아닌지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계획이기 때문. 과학기술위성 2호는 한국이 위성을 처음 자력으로 발사하는 뜻깊은
사건
을 앞두고 있는 셈이다.현재 과기부는 과학기술위성 3호를 개발할 기관을 선정한 상태다. 위성본체와 핵심우주기반기술은 인공위성연구센터, 충남대, 우석대, KAIST가 개발하고 탑재체는 한국천문연구원과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확실성이 있는
사건
의 모임만을 생각할 때 각
사건
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와 전체
사건
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의 비를 일컫는 말 이론적 확률 또는 선험적 확률이라고도 한다 고전역학의 뉴튼 운동방정식에 대응하는 파동역학의 기본 방정식 1926년 E 슈뢰딩거가 수소 원자내 전자(電子)의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간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다. 이는 망원경을 통한 관측천문학 발전에 획기적인
사건
이었다.조선 후기 박학다식하기로 유명한 이규경(李圭景, 1788〜?)은 자신의 저서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태양흑점에 대해 기술하면서 서양인이나 중국인이 남긴 관측 경험에만 의존했다. 19세기 초반에 ... ...
수컷이 암컷이 되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산화탄소를 펑펑 내놓고 있는 인간들이 우리 파충류들의 안타까운 마음을 알까요?”
사건
이 해결되자 어느새 화해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다. 그런데 이 때!“엄마야! 우선 괴로운 제 마음부터 좀 알아 주세요!”갑자기 들려오는 닥터고글의 비명소리. 이런! 새끼 턱수염도마뱀들이 닥터고글에게 반해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경악했다. 그것도 최초의 외계행성이 별의 시체 주변에서 발견됐으니 더욱 놀랄 만한
사건
이었다. 논란이 있었지만 이 발견은 그해 중반에학계에서 인정받았다.볼슈찬 박사는 1990년 지름 305m짜리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지구에서 처녀자리 방향으로 980광년 떨어진 곳에서‘PSR 1257+12’란 ... ...
탈옥의 도구는 과학!?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몰랐다. 인지과학 전문가들이 ‘사진기억’(photographic memory)이라 부르는 이 과정은 어떤
사건
을 경험했을 때 언어의 형태가 아니라 그림(형태)로 기억하는 일을 말한다.예를 들어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뛰노는 아이들을 봤을 때, 보통 사람들은 ‘왼쪽 위’ ‘빨간 옷’ ‘축구’ ‘웃는 얼굴’ 식으로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