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옮기는 해충을 살펴봤더니 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독일로 유학가서 DNA를 다루는 분자
생물학
까지 전공하게 됐다. 이 교수는 “하다 보니 점점 깊숙이 들어갔다”고 말했다.예전만 해도 한국에서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바이러스를 키우기 위해서는 숙주를 키워야 한다. 돈도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엔도르핀이 인간과 침팬지 사이를 갈랐을까.인간과 침팬지의 DNA는 기껏해야 2% 밖에 다르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지금처럼 진화할 수 ... 유전자의 변화가 사람에게 진화의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이 연구는 ‘
생물학
공중도서관’(PloS Biology) 12월호에 발표됐다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견한 DNA는 오른쪽으로 꼬여 있는 이중나선이다. 이것을 B-DNA라고 한다. 이 발견은 분자
생물학
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또 DNA가 어떻게 형태를 유지하고 다른 생명반응에 참여하는지 이해하는 바탕이 됐다. 이 구조가 너무나 유명해 사람들은 DNA 하면 이중나선을 떠올린다. 실제로 DNA는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한 훌륭한 시설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안정훈 교수는
생물학
을 매주 10시간 가르친다. KAIST 영재교육원에서 이 학교로 부임해 온 그는 수업 부담이 적은 대신 학생들 논문 지도나 수업 준비, 연구 등으로 늘 바쁘다.“우리 학생들은 과제에 대한 집착과 문제를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때 실제 세포에서 일어날 반응을 실험하지 않고도 컴퓨터만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생물학
분야의 수많은 반복실험을 대체하는 효율적인 연구방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핵연료를 태우고 남은 폐기물 방사능이 많이 나와 고준위라고 한다 플루토늄 등 반감기가 길고 위험한 물질이 많이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생명센터 연구팀이 만든 줄기세포주를 보관하고 있다.은행 설립 자금을 댄 생명기술과
생물학
연구회(BBSRC)의 줄리아 굿펠로우 교수는 “줄기세포 치료는 줄기세포가 뇌나 췌장 같은 특정한 세포로 변하는 과정을 조절하지 못하면 단지 꿈으로만 끝날 것”이라며 “줄기세포은행은 연구자들에게 ... ...
펭귄의 똥은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영화 ‘스타워즈’에서 다스베이더가 나올 때 반응한 메뚜기의 신경세포를 발견했다.
생물학
상은 스트레스를 받은 개구리 131마리에서 나온 독특한 냄새를 분석한 연구에, 의학상은 거세된 개에 넣는 가짜 개 고환을 개발한 연구에 돌아갔다. 올해 이그노벨상 시상식은 10월 6일 MIT에서 열렸으며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것을 사람들에게 인식시키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 그리고 환경 복원의 문제는
생물학
뿐만 아니라 농학, 공학, 교육학, 인문사회학, 정치학 등 제학문적 문제이므로 모두가 힘을 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우리 마을의 뒷산이 어떻게 생겼는지 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갖자. 그리고 그 산 속에 살고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인하는 특성인 비등방성(非等方性) 때문에 핵연료로는 실용상 여러가지 난점 이 있다
생물학
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하여 세균을 감별 · 선택하는 배양기 분리 배양기라고도 한다 검사 재료에서 특정한 균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감별배양기의 예로 드리갈스키 배양기가 있다 에너지 T0의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zebrafish)는
생물학
연구에 널리 이용되는 실험동물이다.춤추는 유령전창진·경북대
생물학
과 (입선)유령들의 축제일까. 깜깜한 밤에 파란 불빛이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습 같다. 망막의 신경교세포인 ‘뮐러세포’(Muller cell)를 400배 배율로 촬영한 작품. 유령의 머리처럼 보이는 파란 부분이 염색된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