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높게 유지돼 계절에 관계없이 어느 때라도 같은 맛을 내는 쌀을 생산할 수 있다. 벼는
저장
탱크인 사일로(silo)에 담아두는데,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곡물냉각기를 사용한다. 일종의 에어컨으로 사일로에 담아 논 벼층 내부로 차가운 바람을 불어넣어 공기가 벼층을 통과하면서 대류에 의해 빠르게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4∼5개의 방으로 된 반추위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첫째 위(혹위)는 가장 커서 음식물을
저장
하거나 다시 꺼내 되새김질하도록 되어 있다 이 첫째위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셀룰로스를 분해시킨다 되새김질된 먹이는 벌집모양의 벽을 지닌 둘째 위(벌집위)로 이동하는데, 여기에서는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반면, 로켓엔진은 공기가 없는 우주로 나가는 특성 때문에 산소를 엔진내부에
저장
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터보팬 엔진 153개나 필요제트엔진 가운데 현대 항공기에 쓰이는 종류는 대부분 터보팬 엔진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가장 강력한 터보팬 엔진은 F-22의 F119-PW-100이다. 이 엔진은 추진력이 1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951년에는 EDVAC가 등장했다 EDVAC는 수은지연회로에 의한 전용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어,
저장
된 자료 및 명령어에 의하여 연산을 실행할 수 있었다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V)를 기준으로 +와 -전압 양쪽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쌍극성 또는 양극성이라고도 한다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그 구성 소자인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음악이 나온다. 악기소리를 받아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저장
하는 것 샘플러는 건반을 칠 때 그 데이터를 다시 디지털신호로 바꿔 소리를 내는 악기다정보(예를들면 음성신호)가 연속적인 신호인 경우 이것을 그대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기신호 또는 전파로 바꾸어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독점 생산하고 있다.04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낸드메모리(데이터
저장
능력 뛰어난
저장
매체)와 SD램(지속적인 다시 쓰기가 가능하고 기억용량이 큰 D램)을 칩 하나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05 미디(MIDI) 64가지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 칩. 일본야마하가 대표적인 제조 업체다.24핀 단자표준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복잡하다 보니 뇌는 각 발음마다 ‘패턴’을 미리
저장
해 놓는다.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저장
된 패턴에 따라 일순간에 어마어마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내려 보내 원하는 발음을 만든다. 패턴 수는 셀 수 없이 많다. 패턴은 주로 8~10세에 많이 만들어지고 사춘기 이후에는 형성 속도가 느려진다. 제2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있는 에너지절약기술개발 계획 고능률 가스터빈(78∼87년), 연료전지(80∼90년) 전지전력
저장
시스템(80∼90년), 슈퍼히트펌프에너지집적시스템(84∼91년)이 주요 기술개발 테마다 이 외에도 MHD(자기유체동력학)발전 등 초전도기술 응용분야가 포함돼 있다 대체에너지개발을 목표로하는 선샤인(sunshine)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塊狀)으로 된 줄기 및 뿌리의 총칭으로 알뿌리라고도 한다 잎·줄기·뿌리 등이 양분을
저장
하기 위해 특별히 비대되어, 마치 근부의 조직처럼 보이는 형태로 발달된 뿌리의 한 기관이다 글라디올러스 튤립 히야신스 백합 등이 대표적인 구근초${10}^{-9}$(10억분의 1)에 해당하는 보조단위의 접두어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물을 충분히 마시려 하지만 지구에서 가져온 물이 많지 않은데다가 물을 마셔도 몸에서
저장
하지 못하고 자꾸 내보낸다. 지구에서 다리 쪽에 몰려있던 혈액이 몸 전체에 퍼지면서 심장이 평소보다 커지고 심장은 몸에 물이 많다는 신호를 콩팥에 보내 물을 배출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