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d라이브러리
"
탐사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보이저 호, 태양계를 떠나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밝혔어요. 앞으로 5년 안에 태양계 밖으로나아갈 거라고 예측했지요. 과학자들은 두
탐사
위성이 최소한 2020년까지는 여행을 계속하면서 지구의 외교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다중우주’ 첫 검증, 실패로 끝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영국 페리미터 이론물리학 연구소와 공동으로 미국항공우주국의 윌킨슨 우주배경복사
탐사
선(WMAP)의 7년간의 측정 자료를 검토했다. 그 후 버블 구조 충돌이 있었을 경우와 없었을 경우를 나눠서 각각의 조건을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했다. 그 결과 잡음이나 우연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는 파장만 ... ...
NASA의 새로운 미션, ‘목성의 비밀을 밝혀라’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NASA는
탐사
선 ‘주노’를 목성으로 보냈다. 주노는 태양빛으로 움직이며 목성을 5년간 관측할 예정이다. 목성을 연구하는 이유는 행성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다. 이 프로젝트는 NASA의 ‘뉴 프런티어스’ 프로그램의 두 번째 임무다.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갑천면 어답산에서 열렸다. 필자는 중·고교 과학교사 10명의 지도교수로 참여했다.
탐사
에 참가한 생물 교사 한 명이 암끝검은표범나비 수컷 1개체를 채집했다. 물론 이동성이 강한 어른 나비 1마리를 갖고 성급하게 기후변화를 말하는 것은 무리였다.6년이 지난 2011년 5월 21일 횡성군 갑천면의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서해바다
탐사
용으로 개발됐다.➍ 한국해양연구원의 자랑 ‘해미래’. 바닷속 6000m까지
탐사
할 수 있는 무인 잠수정이다. 무인 잠수정은 탑승자 거주 구간을 별도로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인잠수정보다는 수압에 견디기 쉽다. 하지만 반대로 정밀한 제어장치를 연결해 원격 조정기능을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월 2일 마침내 얼음 덩어리인 혜성의 주변을 통과하며 가스와 먼지를 포집했다.혜성과
탐사
선은 서로 빠른 속도로 엇갈려 지나치기 때문에 먼지를 온전한 상태로 포집하기가 매우 어렵다. 연구자들은 해결책으로 에어로젤이라는 특수 물질을 이용했다. 에어로젤은 99.8%가 빈 공간인 나노 다공성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기후 변화 등을 관측하기 위한 국제공동프로그램이에요. 현재 전세계 바다에 약 3200개
탐사
장비가 해류를 따라 흐르며 실시간으로 해류, 수온, 염분 등의 해양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요. 이 중 우리나라는 110여 개를 직접 운영하고 있답니다.아르고 장비가 태풍을 감시한다!앞서 말했듯이 태풍은 ... ...
Part 2. 명예의 전당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딛고 결국 목표대로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에 성공했고, 30년 동안 여러 우주망원경과
탐사
선을 포함해 150개가 넘는 화물을 우주에 실어날랐습니다. 이번에 관람하실 곳은 우주왕복선의 여정 중 가장 기억에 남을 만한 순간을 모아 놓은 ‘명예의 전당’입니다. 특별히 우주왕복선에게 감사의 뜻을 ... ...
탐사
선 ‘던’ 소행성 베스타 궤도에 도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2012년 7월 던은 다음
탐사
예정지인 소행성 세레스로 떠난다. 던은 이온엔진을 사용한
탐사
선인데, 이 덕택에 궤도에 진입했다 탈출할 수 있다. 이온엔진은 불꽃이나, 가스로 추진하지 않고 태양 빛을 모아 제논원자를 이온화한다. 이 이온입자를 강한 전기장 안에서 빠르게 가속하면서 뒤로 방출해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매장된 사실을 확인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두 번째는 자원이 풍부한 외국과 협정을 맺어
탐사
나 개발을 대신하는 대신 일부를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자원 개발에 쓰이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그 동안 얻지 못하던 곳에서 자원을 얻는 방식이다. 해수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