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키메라가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농업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어요. 서로 다른 식물의 줄기나 가지를 연결해서 하나의 개체로 만드는 ‘접붙이기’를 이용해 각각의 장점을 모두 가진 식물을 만드는 거예요. 그럼 접붙인 두 식물이 상호작용하며 과일의 품질이 좋아지거나 병충해에 강해지는 등 새로운 능력을 갖게 돼요. 실제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눈 따끔, 목 칼칼! 신데렐라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하나를 선물해 주시는 게 어떨까요?”며칠 뒤, 꿀록탐정의 탐정 사무소에 묵직한 택배 하나가 도착했어요. 그리고 그 안엔 예쁜 유리 구두 한 켤레와 메모지가 붙어 있었지요.‘꿀록 탐정님. 응원합니다♥ - 차밍 드림’ 개념 퀴즈성층권 오존은 인간에게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한다.( O , X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정도의 슈퍼컴퓨터가 될 수 있어요. 세티 앳 홈은 대표적인 ‘디지털 협업’의 사례 중 하나였죠.‘디지털 협업’이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여 미션이나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하는 것을 말해요. 대표적인 게 바로 ‘위키백과’입니다. 위키백과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을 ... ...
- [특집] 유령대소동! 직각삼각형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어떻게 하는 건데?Part2.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 Part3. 딱 하나 고르라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Part4. 두 눈 크게 뜨고 찾아봐~! 앗! 여기에도 직각삼각형이? ... ...
- [특집] 피타고라스의 정리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있는 모임 ‘피타고라스학파’가 얼마나 대단한 발견을 했는지 또 내 입으로 알려줘야 하나~?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이 가진 재밌는 성질을 공식으로 나타낸 거예요. 한 각이 직각(90°)인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 하지요.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세 변 중에 직각과 마주보는 비스듬한 변을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피라미드 지으려면?이집트에 있는 ‘쿠푸’ 왕의 피라미드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혀요. 지금으로부터 약 4600년 전에 밑변의 길이가 230m나 되고, 높이는 147m에 달하는 이 피라미드를 어떻게 지었는지 상상이 잘 안 가기 때문이에요. 학자들은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우주는 말도 못하게 춥다는데, 부디 따뜻하게 지내길 바라요~!”딱지는 다른 상자도 하나하나 뜯어봤습니다. 전부 고맙다는 인사가 담긴 선물이었습니다. 딱지는 자기도 모르게 빙그레 웃고 있었습니다. 그때 스피커로 해롱 선장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습니다. “딱지 어딨어? 빨리 조종실로 오도록. ... ...
- [특집] 무한의 비밀을 밝혀라!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최고 수학자라고 하지요. 그런데 이런 내가 무한 세계를 휘어잡지 못하게 막는 악당이 하나 있소. 그 녀석만 해치우면 무한 세계의 비밀을 모두 풀 수 있을 것 같은데, 나와 함께 그 악당을 물리치러 가지 않겠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무한의 비밀을 밝혀라! 인피니티 워Part1. ... ...
- [특집] 연속체 가설은 거짓? 끊임없는 수학자들의 공격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대해 ‘수학의 역사에서 일어난 가장 지적으로 흥미진진하고 절대적으로 극적인 일 중의 하나’라고 표현했습니다. 이처럼 수학자들의 반응은 다양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수학계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수학 연보’에 실릴 정도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과연 무한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연속체 ... ...
- [매스크래프트] #23. 나에게 빠져 빠져! 미로의 숲!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벽을 실이라고 생각하고 펴면 미로 A′처럼 두 개의 실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둘 중 하나의 실을 따라 걸으면 출구에 도착할 수 있지요. O, X로 탈출한다! 트레모 미로 알고리듬 미로 속에서 직접 돌아다닐 땐 벽만 보여 위상수학을 활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없죠. 이때 ‘트레모 미로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