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82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럼프 “기후변화 거짓말 아냐. 하지만 영향 오래 안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막을 힘이 있다”며 “지금 당장 적극적인 온난화 방지 대책을 실시한다면 이번
세기
말까지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도 제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미국의 협조가 없으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유럽연합(EU)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한다. 그런데 토양만으로 대저 토마토의 맛과 향을 설명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늦어도 16
세기
에는 우리나라에 토마토가 들어왔다고 하니 아마도 토종 품종 아닐까. 필자 생각에 대저 토마토는 GLK2 유전자가 온전해 열매에서 엽록체가 충분히 만들어져 당도가 높고 향도 강한 것으로 보인다. 정말 ... ...
[지구를 위한 과학]"민물고기 만나러 섬강으로 가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15
꾸구리는 전세계적으로 한강과 금강 수계에만 서식하며, 주로 수서 곤충을 먹어요. 빛의
세기
를 감지해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어두운 곳에선 눈동자가 동그랗게 커졌다가 밝은 곳에선 고양이처럼 세로로 길쭉해진답니다. 김정훈 연구원(한림대 4년)은 하천 한 구석을 가리켰어요. “저기 ... ...
100㎞바깥 우주에서 벌어지는 총성없는 전쟁
2018.10.13
기상위성으로 구성된다. 작전위성은 필요시 군에서 작전에 필요한 활동(신호의
세기
나 주파수 변경 등)을 직접 관제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특히 항법위성은 다른 위성과 달리 특수부대가 별도로 운용될 만큼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 항법위성은 미군이 1960년대 말 ... ...
“물리-화학-평화상에 여성… 2009년 5명 이후 두번째로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몇 년 만인가요. 여성 노벨 물리학상이 나온 게? 도나: 55년 만이라네요. 마리: 55년! 반
세기
가 넘도록 한 번도 여성 물리학자에게 상을 안 준 거예요? 난 내가 1903년에 받았으니 100여 년 사이에 적어도 50번은 받았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말랄라: 마리 님이 시대를 많이 앞서가신 거죠. 도나: 남녀가 ... ...
산업화 전보다 온도 1도 올랐다...IPCC "2030년까지 CO2 45%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파리에 모여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열었다. 이때 참여 당사국들은 21
세기
말까지 지구 표면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최대 2°C로 제한하고, 가능하다면 상승 폭을 1.5도 이하로 억제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른바 '파리협정'이다. 이번 특별 보고서는 지구온난화의 ... ...
"한울원전 첫 백색비상" 소식에 휴일 가슴철렁…11시간 만에 발령해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않아 비상이 발령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한반도를 비롯해 동북아 지역의 태풍
세기
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방사선 비상이 추가로 발령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원안위는 한수원의 대응 적절성, 원전설비의 안전성 등 그 영향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 뒤, 그 결과를 공개할 ... ...
천연약물 백과사전 ‘본초강목’ 우리말로 완역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아니라 당시 한국과 일본에 전해져 중요하게 활용됐다. 1647년 유럽에 소개된 이후 18~20
세기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으로 번역됐다. 2011년에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원문과 번역본은 한의학고전DB 홈페이지(mediclassics.kr)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분의 1J)에 불과했다. 지금은 펄스 폭은 펨토초(1000조분의 1초)나 아토초 (100경분의 1 초),
세기
는 페타와트 (PW·1PW는 1000조W)에 이른다. 이런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는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을 탐구하는 물리학에 요긴하게 사용된다. 특히 이보다는 훨씬 약한 빛의 경우(그래도 여전히 짧은 고출력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지난 7월 번역돼 출간됐다. - 교보문고 제공 참고로 은여우는 붉은여우의 변종으로, 19
세기
후반 캐나다에서 모피를 얻기 위해 사육하기 시작했고 그 뒤 러시아에서도 대규모로 길렀다. 비록 우리 속에서 사람이 주는 걸 먹으면서 살지만 성격은 야생 그대로여서 사람을 피했고 막다른 골목에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