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이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뉴스
"
특수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분포를 20nm 크기까지 분석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 정도의 해상도를 관찰하려면 고가의
특수
영상장비가 필요했다. 일반 광학 현미경으로는 수백 nm 크기를 관찰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이 장치의 해상도는 우주에서 지구인의 손바닥을 식별하는 정도”라며 “이 나노칩은 기존 ... ...
‘혹성탈출’ 속 침팬지, 실제로 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1
팬지와 셔먼을 풀어놓은 뒤 먹이를 숨겼다. 팬지와 셔먼은 먹이의 위치는 알 수 있었지만
특수
한 장치 때문에 사람의 도움없이 먹이를 먹을 수는 없었다. 이후 연구팀은 먹이가 어디 있는지 모르는 사람을 마당에 들어가도록 했다. 침팬지는 동료에게 자신의 의도가 담긴 손짓을 한다. - ... ...
‘꿈의 신소재’ 상용화 코 앞으로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않는’ 공정을 개발해 효율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금속 대신 ‘석영’ 위에
특수
한 탄소 고분자인 ‘PIM-1’을 골고루 코팅한 뒤, 1200도로 가열하자 그래핀과 비슷한 구조와 특성을 가진 투명한 탄소나노시트가 생성된 것. 기존의 제조공정에서는 최종 그래핀이 생성될 때까지 총 8단계를 거쳐야 ... ...
KSTAR, 알고보니 타임머신?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된 적이 있다. 개봉 초기에는 관객 수 50만 명을 넘어서며 흥행 1위를 달리고 했지만, 연말
특수
를 노린 영화들 때문에 곧 막을 내렸다. 시간이동이라는 소재를 스릴러라는 장르와 연결해 주목을 받았지만 영화 뒷 부분으로 갈 수록 소위 '뒷힘'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인 듯 싶다. 다음날 오전 1 ... ...
‘선행학습 공화국’
동아일보
l
2014.01.09
올랐다. 특히 초등학생은 국제중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선행 비율 93.7%)이, 중학생은
특수
목적고에 가려는 학생(90.6%)이 더 선행학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학습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은데도 근절되지 않는 것은 학교 성적과 선행 경험이 비례하기 때문이다. 초등학생의 경우 영어 ... ...
건물 외벽에 '이것' 붙였더니 단열효과 놀랍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세대당 연간 약 60만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경석 박사는 “
특수
단열재를 외벽에 씌우는 만큼 세대 당 300만원 정도의 추가 리모델링 비용이 발생하지만 5년이면 회수가 가능해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경제적”이라고 설명했다. 청담동 래미안아파트 및 그린 ... ...
거짓말을 가려내는 논리력의 위대함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누구인지를 쫓아가는 스토리다. 스트라이크는 주변 인물을 차분히 만난다. 육군 헌병
특수
수사대의 경력과 경험이 그의 ‘식스 센스’의 자양분이 되고 주변 인물 중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를 특유의 차분한 방식으로 서서히 풀어나간다. 거짓말 탐지기로는 파악하기 힘든 진실을 따라가는 ... ...
마이크로파가 터널 공사기간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시간뿐 아니라 비용 낭비도 심했다. 철도연이 개발한 콘크리트 급속양생기술은
특수
제작된 거푸집 하단에 장착된 마이크로파 발생장치가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양생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하는 최적 온도인 35~55도를 지속시켜 12시간 안에 양생이 끝나도록 한다. 게다가 이 ... ...
로봇과 대화하는 자폐아, 사회성 '쑥쑥'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도와 장애 학생의 학습을 돕는 친구 역할을 무난히 담당했다. 로보짱에는 대구대
특수
교육·재활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사회성 향상 콘텐츠가 스마트 기기와 연동된 상태로 설치돼 있다. 국내 장애 학생 및 관심군 학생 수는 전체 학생의 10%에 이르지만 이들을 담당할 교사가 부족하고 적당한 ... ...
"과학대중화 위해서라면 노벨상 없는 게 나아"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말이다. 그는 "예를 들어 단국대 기생충학과 서민 교수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지 않는
특수
한 영역을 다루면서도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며 "평소 기생충이 혐오스럽게만 느껴지던 사람도 그를 접하고 나면 생각이 달라질 테고, 특히 어린이들이 장래희망을 정하는 데 큰 영향을 받을지 모른다"고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