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스페셜
"
구조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
2019.05.22
줄넘기조차 익숙해지기 전까지 아이들은 어려워한다. 하물며 눈에 보이지 않는 논리적
구조
는 더욱 그렇다.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한 탓이 크다. 9살은 고추와 감자가 왜 과일이냐는 즉자적인 의심이 더 어울리는 나이다. 모든 교육은 마무리됐다. 원래 계획했던 17교시보다 한 시간 더 진행했지만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빛을 가해 신경세포의 활성을 일으키고, 다시 그 결과를 측정해 실시간으로 뇌 3차원
구조
안에서 보여주는 ‘광유전학fMRI’ 기술을 2011년 개발한 게 대표적이다. 치매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과 뇌전증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중이며,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초기창업기업)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문의 해로움”(Go To Statement Considered Harmful)이란 다분히 논쟁적인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며
구조
적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주장했다. 마침 판단문 교육을 진행하며 아이는 지나치게 복잡해진 코드를 어려워했다. 상황만 봐서는 함수를 가르치기 딱 좋은 때라 생각했다. 복잡한 코드가 순식간에 ... ...
탐사선 ‘창어 4호’ 첫 연구성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감람석은 달 맨틀의 구성 성분으로 짐작되는 물질”이라며 “이번 연구는 달 맨틀의
구조
뿐만 아니라 달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진화했는지 알아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달에 맨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지만 이번 연구 결과만큼 구체적으로 ... ...
3D 프린팅으로 투명한 인공각막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다. 장 교수는 “3D 프린팅 시 발생하는 응력을 이용해 각막 미세
구조
를 모사해 체내 안정성과 투명성을 모두 확보했다”며 “각막 대체제로 상용화된다면 각막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큰 희망이 될 것”이라며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바이오패브리케이션 7일자에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국희균 원장(오른쪽)의 집도해 로보닥으로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있다. 로보닥은 밀링커터를 이용해 임플란트와 꼭 맞는 모양대로 뼈를 ... 단순한 곳”이라며 “추후 기술이 발달하면 손목이나 어깨처럼 뼈가 비교적 작고 복잡한
구조
도 수술할 수 있는 로봇이 탄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이병천 서울대 교수 복제견 연구를 둘러싼 미해결 논란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2. 동물보호법 위반 동물보호 단체 비글
구조
네트워크가 지난달 22일 이 교수를 서울 중앙지검에 고발한 것은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 때문이었다. 법에 따르면 애초에 실험동물로 쓸 수 없는 동물이 정해져 있는데, 메이는 그 동물에 해당되므로 ... ...
전방위로 확산되는 동물학대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동물보호단체 케어 박소연 대표의 ‘유기견 안락사’ 논란이 일었다. 박 대표는 유기견
구조
활동을 펼친 대표적인 동물보호활동가로 보호소를 운영해왔다. 하지만 케어가 4년간 수백마리에 달하는 개들을 무분별하게 안락사했다는 언론보도가 잇따랐다. 건강한 개와 임신한 개 등 무분별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새 깃털 입고 박쥐처럼 날아다닌 암보프테릭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날 수 있는 척추동물들이 독립적으로 진화해 왔다고 봤다. 뼈의 구성요소와 생김새, 표피
구조
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5년 4월, 깃털과 날개막을 둘 다 가진 공룡 '이치'가 최초로 발견됐다. 그리고 이번에 발견된 암보프테릭스가 두 번째다. 암보프테릭스는 이치에 비해 앞다리뼈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A형간염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출발물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골바티닙의
구조
를 조금씩 바꿔 바이러스 표면에 좀 더 잘 달라붙고(그래야 투여량을 줄일 수 있다) 부작용은 더 적은 분자를 찾아낸다면 A형간염 치료제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기존에 연구된 약물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