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이미지"(으)로 총 1,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 정성으로 우리 몸도 챙긴다면 대사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크게 낮아질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러고 보면 말이나 개(늑대의 후손) 역시 사람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 같다. 수천 년이나 수만 년 전 사람에게 길들여진 뒤에도 이들은 여전히 몸을 많이 쓰는 삶을 살았다. 그런데 불과 100년 사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2019.01.12
- 무력감, 상대적 박탈감, 낮은 통제감, 높은 불확실성을 느끼는 편이라고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세상을 조종하는 소수의 엘리트 집단이 있다거나 탄탄한 근거들이 존재하는 사실들도 음모이고 조작이라고 생각하는 등 비교적 음모론에 빠지기 쉬운 사람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 ... ...
- [과학게시판] 가상통화 취급업소 보안 수준 점검결과 外동아사이언스 l2019.01.10
- 게티이미지뱅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가상통화 취급업소 21곳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수준을 점검한 결과, 전체의 66.7%인 14개 업소가 85개 요구항목에 대한 개선 조치가 미비한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한 업소는 두나무(업비트), 비티씨코리아(빗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2019.01.08
- 과학의 영역에서는, 재능과 노력이 성공의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게티이미지뱅크 2019년 기해년(己亥年) 황금돼지해를 맞아 복이 찾아들기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나이가 들수록 세상을 살아가는 데는 실력과 노력만큼이나 복과 운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2019.01.05
- 같은 일을 해도 내적 동기로 인해 하는 경우 비교적 덜 지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운동하기’ 같이 비슷한 목표를 설정해도 자기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하기 싫지만 어쩔 수 없이 해야해’라고 생각하는 반면 자기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힘들겠지만 그래도 나에게 도움이 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2019.01.02
- ‘무엇을 언제’ 먹느냐에 신경을 쓰면 효과적으로 살을 빼고 건강도 챙길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구촌의 장수하는 사람들 대다수는 하루 12~13시간의 금식이라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생활을 한다." - 안드레아 디 프란세스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소개한 리뷰 논문에서 2019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2018.12.29
-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런 인간이 살아내는 삶 또한 헛점 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 게티이미지뱅크 따라서 머리 속에서 상대를 끝없이 악마화하고 극단적인 결정으로 치닫기 전에 ‘혹시 그냥 실수한 건 아닐까?? 요즘 그 사람에게 좀 힘든 일이 많았나? 내가 오해한 것은 아닐까’하고 한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2018.12.25
- 혀로 왼쪽부터 고양이, 살쾡이, 퓨마, 설표, 호랑이, 사자다. B: 실유두의 마이크로-CT 이미지로 6종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다. C: 고양이 혀에서 실유두가 분포하는 영역으로 평균 290개다. D: 실유두의 길이로 고양이가 2.3㎜이고 나머지 다섯 종도 거의 같다. E: 돌기는 속이 빈 원뿔이 세로로 잘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풍요롭게 하는 경험을 늘려가는 것이 오래가는 행복감을 가져온다. 게티이미지뱅크 행복해지는 데 필요한 건 뭘까? 좋은 직장, 적정한 소득, 원만한 인간관계, 맛있는 음식, 초콜렛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이 모든 것을 성취해도 여전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2018.12.18
- 학자들이 찬사를 보내고 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매개체로 이미지를 구긴 낙타가 인류를 독감에서 구해낼지 지켜볼 일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