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d라이브러리
"
적은
"(으)로 총 3,9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수학동아
l
201001
앞이라서 위험할 것 같지만 썰매가 루지보다 2배나 무겁고 커서 지금까지 큰 사고가 난
적은
없어.TV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통해 잘 알려진 ‘봅슬레이’는 날씬한 몸매의 썰매차‘봅’을 타는 경기야. 차라고 하는 건 운전대와 브레이크가 있기 때문이야. 운전대와 브레이크는 서로 다른 사람이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01
한국인의 몸 알기새해를 맞아 새 옷을 사러 백화점에 갔다. 맘에 드는 코트를 찾았지만 어깨 넓이는 맞는데 소매길이가 짧아서 소매를 내야 했다. 코트에 어울리는 바지도 허리둘레는 맞는데 바지길이가 짧아서 밑단을 더 내야 했다. 한국의류학회는 공장에서 만들어 나온 남성용 정장의 43%, 여성용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
수학동아
l
201001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지구 어디쯤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위도 33~43°의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합니다. 만일 경도와 위도가 없다면 우리나라가 어디에 있다고 말하기 어려웠겠지요. 경도와 위도는 지구 위에 그려진 좌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학에서 좌표평면의 발견은 도형과 대수식을 연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01
"사라진 한국 위성을 찾아라.”2031년 경기도 어느 산자락에 자리한 항공우주통 제사령부. 지하 상황실 대형 전광판에 작은 점 하나 가 깜빡이기 시작했다. 모니터 속 작은 점은 몇 번 깜 박이더니 잠시 뒤 사라졌다. 당직을 서던 상황 장교 의 눈이 반짝였다. 이상을 감지한 상황실은 즉각 사 태 파악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01
#1. 드라마나 영화에서 흔한 장면갑작스런 폭설에 산에서 길을 잃은 두 사람. 서로를 꼭 껴안고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애를 쓰지만, 다리를 다친 한 사람에겐 점점 졸음이 몰려온다. “정신줄 놓지 마! 그러면 큰일 나!”#2. 집에서 흔한 장면오늘도 게임기에 빠져 있는 우리 아들 윤성이. “윤성아! 숙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01
더위는 극에 달했다. 물을 마신 지 5분도 안 돼 입술이 바짝 마른다. 더위보다 더 큰
적은
파리 떼다. 손사래를 쳐도 날아가지 않고 머리와 눈, 귀에 인정사정없이 달라붙는다. 푹푹 빠지는 모래 때문에 걸음을 옮기기도 힘들다.정오 무렵에는 사흘 전 빠진 모래 구덩이에 도착했다. 이제 30~40km만 더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01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위성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1
했다. 먼저 수질을 조사했다. 놀랍게도 역고드름이 생긴 물에서는 불순물이
적은
게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역고드름을 만든 물은 보통 수돗물보다 칼륨이 9배나 많았고 미네랄 성분을 많이 포함한 암반수와 비슷한 수질을 보였다. 이는 리브레츠트 교수의 실험 결과와 정반대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자연이라는 울타리 안에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어요. 그 친구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는 만화영화 못지않게 흥미진진하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다양한 생물들의 이야기를 만나러 떠날 거예요. 다 함께 사진 속으로 출발~!* 이 사진들은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한 제1회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01
1842년 김대건 신부가 쓴 편지에 날짜를 아라비아 숫자로 적고 있습니다. 아라비아 숫자를
적은
최초의 공식적인 문서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조약을 체결할 때 영어로 작성한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이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군요. 앞서 이야기했던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