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않은 동물 종부터 작업하고 있다. 얼시크 교수는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디지털로 기록하는 작업은 후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모든 3D 모델을 온라인에 무료로 배포할 계획이다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필자는 뒤섞인 채 발굴된 32구의 뼈를 실험실로 옮겨 개체를 구분한 적이 있다. 상세히 기록된 도면과 사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뼈가 애초에 무작위로 섞인 채 발견됐다면 현장보다는 실험실에서의 역할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법의인류학자들은 뒤섞인 뼈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노력이 떠올랐다!).이윤수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암석 샘플은 백두산의 과거 화산활동 기록이 담긴 블랙박스와도 같다”며 “다른 연구자들도 나중에 백두산을 연구할 수 있도록 샘플을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샘플 파티에 모인 연구자들은 구글 지도에 암석을 채집한 위치와 분석한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술로 100만 달러 이상을 갈취했습니다. 이 사건은 기네스북에 최대의 해킹 사건으로 기록되기도 했죠. 더 놀라운 것은 그가 컴퓨터는 단 한 번도 쓰지 않고 모두 전화를 이용했다는 점이었습니다.이런 종류의 해킹을 ‘사회공학적 해킹’이라고 합니다. 미트닉은 다른 사람의 개인 정보를 훔쳐내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난 4월 30일, 인천 교동도 대룡시장에 셀카봉을 든 60여 명의 사람들이 모였어요. 올해 처음 선보인 지구사랑탐사대 제비 현장교육이 열렸거든요. 이날을 시작으로 5월 한 달 간 ... 지사탐 활동이 생물들을 지키는 데 큰 힘이 되길 바라며, 전국에서 보내올 탐사활동 기록을 기대할게요 ...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돌이 스스로 움직인다고 생각했지만 그 증거를 찾지 못했어요. 움직이는 돌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남겨진 1915년부터 약 100년 동안 사람들은 이 돌이 왜 움직이는지에 대한 비밀을 밝혀내지 못했죠. 심지어 외계인이 돌을 밀어 움직이게 한다는 얘기가 생길 정도로 궁금증은 커져만 갔답니다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증보산림경제 등 다양한 역사서에 표고를 포함해 송이, 능이 같은 식용 버섯에 대한 기록이 가득하답니다. 지금 우리가 슈퍼에서 보는 버섯들을 조상님들도 길러 먹었다니 재미있지 않나요?이 밖에도 우리나라에는 약 2000종의 버섯이 자라고 있어요. 특히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에는 우리나라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조사했다. 그 결과, 청소년 시기에 거짓말을 가장 많이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심리학기록, 2015, 160, 58-68).경제학상뉴질랜드 마세이대의 마크 아비스, 영국 버밍엄대의 사라포비스, 뉴질랜드 오타고대의 쉘라흐 퍼거슨 박사는 영업과 마케팅 관점에서 돌(rock)의 성격이 어떻게 인지되는지 연구한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화석은 비교적 드물고, 치아나 뼈 부분만 화석으로 볼 수 있다.신생대 생명체의 역사 기록관, 그린 강 퇴적지층 사진 속 표본은 미국 유타 주의 그린 강 퇴적지층이 있는 윈터 카운티의 보난자 지역에서 채집된 화석이다. 플라타너스의 한 종인 시커모어 나무가 준보석인 마노(미정질 석영)로 변했다.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믿은 것은, 계기관측을 시작한 1904년 이후 큰 지진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역사 기록에는 큰 지진이 많이 등장하는 만큼 역사지진 연구를 게을리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이번 경주 지진이 혹시 대지진으로 향하는 위험한 징조는 아닐까. 이 교수는 “전세계 지진의 98%는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며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