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조 교수팀은 벼룩 뒷다리 근육의 움직임을 그대로 재현한 로봇을 만들었다. 상자 모양에
긴
뒷다리가 나 있는 모양이다. 크기는 500원짜리 동전만 하다. 작다는 것 외에 별다를 것이 없어 보지만 로봇에 전류를 흘려주면 신기한 일이 일어난다. 마치 장대높이뛰기를 하듯 제자리에서 풀쩍 뛰어 오른다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같은 풍경이다. 두 요트 모두 배가 하나의 나무판으로 된 게 아니라 여러 개의
긴
나무를 이어서 만든 배라서 손이 많이 간다.열기구도 띄워볼까? 독창적 바구니기자가 학교를 찾았을 때 자항연 교실 한쪽에서는 2011년 12월 2일에 열렸던 축제 준비가 한창이었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축제에서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후 이 지역을 다시 조사한 캐나다 로열 티렐 박물관의 필립 커리 박사팀은 이 화석을 남
긴
무리가 한꺼번에 죽음을 맞이했고, 단독생활이 아니라 집단생활을 했다고 주장했다. 무리 중에는 거대한 알베르토사우루스에서부터 크기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은 알베르토사우루스까지 다양했다.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단어를 50개는 외워야 해. 그리고 겨울방학 때는 문법을 집중해서 보고.”처음부터
긴
영어지문을 읽는 공부만 하면 금세 지치기 쉽다. 따라서 시작은 읽기와 듣기로 가볍게, 즐겁게 하면서 실력을 키우는 게 좋다. 그리고 단어나 어휘암기는 매일 목표량을 정해두고 반드시 달성하려고 노력하자.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용하면 멋진 일이 일어날 것임을 직감했다. 그는 플라스미드라는 목걸이처럼 생
긴
박테리아의 DNA를 연구하고 있었다.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의 게놈과 별도로 존재하는데, 박테리아들은 서로 빨대같은 대롱으로 연결한 뒤 플라스미드를 주고받는다. 플라스미드에는 특정 항생제에 저항성이 있는 ... ...
열차 기관사 '뿌잉 뿌잉 치치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에휴…, 다행이다. 이제 거의 다 조립했어. 이건 어디에 끼우는 부품이지?”문제 ❸
긴
막대 두 개가 남았다. 어디에 설치해야 할까? 증기기관차를 잘 보고 어디에 부품을 끼울지 생각해 보자.정답과 해설조지의 증기기관 칫솔“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증기기관차를 움직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방법 때문이야! 라면은 쫄깃한 맛을 유지하는 동시에 빠른 조리를 돕기 위해 기름에 튀
긴
면을 이용하거든. 면을 튀길 때는 면발 사이사이로 기름이 침투해 골고루 튀겨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 그러려면 면발과 면발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해야 해. 만약 밀가루로 반죽된 면발이 곡선이 아닌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단단히 잡고 있다. 현수교의 케이블은 아치모양으로 굽어져 있다. 바로 이런 구조로 인해
긴
상판이 받는 하중을 양쪽의 교각으로 잘 전달할 수 있어서 무거운 하중도 견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금문교의 상판 아래는 트러스 구조라서 케이블과 함께 하중을 교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다리의 ... ...
산타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아참 모두 창문을 열어 주세요. 비행기 사고 대부분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생
긴
답니다. 비행기가 땅 위에 있을 때 비상탈출을 할 경우 보통 90초 안에 전원이 탈출해야 해요. 그런데 화재나 사고로 전기가 들어오지 않으면 탈출하기 어려워지죠. 그래서 이륙과 착륙을 할 때는 언제든 지 외부 ... ...
한 번 울린 노래도 다시 주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하지만 판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을 녹음하기는 어려웠지요. 얇고
긴
자기 테이프를 개발하면서 녹음할 수 있는 소리의 양이 훌쩍 늘어났답니다. 카세트테이프가 바로 이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음성 저장 매체랍니다. 요즘은 레코드 판이나 자기 테이프를 대신해 디지털 녹음기를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