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발견된 청동 숟가락은 손잡이 부분이 볼록해 실제로 쓰기는 어려운 형태였다. 4세기에 만들어진 부산 기장의 젓가락은 길이가 무려 30cm가 넘는다. 이런 비정상적인 숟가락과 젓가락은 왕의 권세를 나타내는 위세용이었거나 귀족층의 전유물의 가능성이 크다. 무령왕릉을 제외한 다른 삼국시대 ... ...
- [화보] 도시가 잠든 사이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오일러가 증명한 한붓그리기와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다.라이프 그래피티의 시초는 20세기 천재 화가로 불린 파블로 피카소였다. 피카소는 1949년 미국의 유명한 사진잡지인 ‘라이프(LIFE)’지의 사진작가 욘 밀리와 함께 빛으로 그림을 그리는 데 처음 성공했다. 피카소는 당시 황소와 그리스 신화에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타원곡선의 밀도는 0보다 크다’는 것이다.바르가바는 이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 19세기 말에 민코프스키가 개발했던 ‘수의 기하학’ 이론을 현대적인 방법으로 개선했다. 수의 기하학이란, 정수의 순서쌍 같은 이산 수체계가 다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상세히 공부하는 이론이다. 그런데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 점프문(jump), 조건문(if)과 같은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를 정리하는 명령어를 말한다. 19세기에 살았던 에이다가 정리한 이 개념은 1970년대에 ‘에이다’라는 이름의 정식 프로그래밍 언어가 됐다.앨런 튜링(1912~1954)수학 원리로 튜링기계를 선보이다!1936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학자인 앨런 튜링은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년 09호
- △ABC ≡ △DEF라고 쓴다.기호 ≡는 어떻게 합동을 나타내는 기호로 쓰이게 된 걸까? 사실 19세기까지만 해도 합동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보다 ≅를 더 많이 사용했다. 기호 ≅는 1824년 독일의 수학자 칼 몰바이데(1774~1825)가 처음 사용했다. 그런데 칼 몰바이데 역시 이 기호를 독창적으로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영상과 놀랍도록 닮았다. 이 때는 최초의 인공위성이 우주로 올라간 때(1957년)보다 한 세기 이상 앞선 시대였다. ▲ 목숨 걸고 만든 첫 해류지도오늘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에 얻을 수 있었다. 360년 전인 1675년에 하펠이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충실히 들어야 한다. 기초과학을 폭넓게 배우기 위한 방법이다.리버럴 아츠 교육은 12세기 서양에서 최초로 대학이 만들어지면서 시작됐다. ‘기초학문’이라는 말과 비슷한데 글쓰기, 문학, 철학, 자연과학을 비롯해 경제학, 역사학, 인류학 등 다양한 기초학문을 포함한다. 당시 대학 설립자들은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임진왜란 6년, 누명을 쓰고 파면됐던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에 의해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다. 하지만 그에게 남은 건 전의를 잃은 병사와 두려움에 가득찬 백성, 그리고 12척의 배뿐이다. 이때 일본군은 해적 가문 출신인 구루지마 미치후사를 앞세워 330척의 배를 이끌고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기하학에 혁명적인 일이 일어나게 되었다. 도형을 식으로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다.18세기로 넘어가면서 방정식의 연구는 더욱 깊어지고 확대되었다. 당시 가장 두드러진 두 가지 관심사 중 첫 번째는 17세기 데카르트와 프랑스의 수학자 지라르가 제안한 ‘대수학의 기본 정리’다. 간단히 설명하면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재능만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40)는 장난감 ‘루빅큐브’에서 영감을 받아 18세기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의 연산법칙 연구를 확장한 공로로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인도계인 그는 인도의 전통 타악기인 ‘타블라’를 수준급으로 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릴 적부터 타블라의 세계적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