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수학 게릴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수학 신문 기사를 쓰다가 컴퓨터가 꺼져서 작성하던 기사 파일이 사라져 버리기도 했고,
스스로
계획한 수학 탐구 활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수십 번을 반복하다가 결국 포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서로 토론하면서 대안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었다.이런 활동을 위해 방학 내내 하루에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오늘날 인간은 자연에선 서로 만나기 힘든 여러 숙주 종을 한 공간에 두거나, 인간
스스로
새로운 바이러스 활동구역으로 들어가면서 활동구역을 임의로 뒤섞기 시작했다. 분명한 것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이 점점 더 잦아질 것이란 사실이다. 인류와 바이러스의 전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보트로 돌아가야 하는 거리가 너무 멀거나 신체가 피곤하면 사고가 생길 수도 있다. 특히
스스로
두려워하기 시작하면 공포심으로 몸이 긴장하게 돼 호흡량이 증가한다. 숨을 더 깊고 빠르게 쉬고 싶어진다. 이 때 호흡기를 빼면 가뜩이나 겁을 먹은 상태에서 물을 먹어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더 세게 일어난다.만약 집에 좀도둑이 들었다면 작은 손해를 각오하고 인기척을 내 도둑
스스로
도망가게 하는 것이 상책이다. 그런데 만약 몽둥이를 들고 도둑과 싸우려든다면 도둑은 강도로 돌변한다. 인체가 H5N1에 감염되면 똑같은 일이 벌어진다. 새 대신 낯선 숙주(인간) 몸속에 들어온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자기주도적 첨단 교육시스템도 가동 중이다. 학생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이용해
스스로
선행학습을 한 뒤 강의실에서 교수와 함께 열띤 토론을 펼친다. 다양한 분야를 섭렵할 수 있도록 융합연구 프로그램도 강화했다. UNIST 신입생들은 전원 전공 없이 입학한 뒤 2학년으로 올라갈 때야 ... ...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하늘을 향한 꿈을 펼칠 수 있는 곳.”“끝없는 파괴와 노력을 자신만의 기술로 만드는 과정.”항공로봇비행단을 한 마디로 표현해보라는 질문에 한 문장씩 ... 실력을 쌓아가도록 한다”며, “교사의 개입을 최소한으로 줄여 동아리에 대한 책임감을
스스로
갖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혼자서는 단순하게 움직일 뿐인 개미가 군집을 이루면
스스로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찾아낸다. 동물의 집단지성을 다룬 ‘스마트 스웜’의 저자 피터 밀러는 “때로는 무리가 영리한 개인보다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개미 집단지성 능력은 특히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자연숲에는 어떤 식물이 살까?자연숲은 오랜 세월 식물
스스로
일궈낸 기름진 토양 위에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한 자생종이 많이 자라는 점이 특징이다. 가을이 되면단풍과 함께 낙엽이 떨어지는 활엽수가 많고, 여러 가지 나무가 고루고루 잘 섞여 있는 점도 도시숲과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물고기 중 하나다. 하지만 동료들과 거대한 무리를 이루어서 큰 물고기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
를 보호한다. 생물학자들은 정어리떼가 만드는 ‘피쉬 볼’이 포식자들에게 마치 거대한 물고기를 만난 것 같은 느낌을 준다고 설명한다.이처럼 생물학자들의 관심사가 동물들이 무리를 짓는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창조적 사고는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닌 새로운 문제를 내는’ 과정에서 길러집니다. 즉,
스스로
가 출제자 입장이 돼보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이론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이론에 정통하지 않고는 좋은 문제를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를 틀리게 풀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