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4일 동안 머무르며 4차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로봇공학과 코딩, 3D프린팅 교육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지 학생들과 함께 조를 이뤄 3D프린터를 직접 조립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을 체험하고, 아두이노를 이용해 기초적인 로봇 교육을 받는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를 배운 뒤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KAIST에서 수학 캠프를 열었어요. 저는 내신 점수가 깎이는 걸 감수하고 그 캠프에 참여했어요. 외국어고등학교에 다녔기 때문에 수학 캠프를 가는 학생도 없었고, 선생님도 추천하지 않았거든요. 보충수업에 빠져야 하니까 오히려 감점을 받았죠. 하지만 이를 감수하고 2년 내내 수학 캠프에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적은 피켓을 든 채 지난 4월 22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함께하는 과학행진’에 참여했다.#휴가차 친구와 서울에 온 멕시코인 멜리사 라모스 씨(오른쪽 사진)는 휴가 기간 중 ‘과학행진’이 열린다는 말을 듣고 미국에 갈 것을 심각하게 고민했다. 하지만 서울에서도 행진이 열린다는 말을 듣고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8000년 전 원주민들이 키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무를 더 많이 심었고, 결국 아마존에서 우세한 나무종이 된 거라 추정했어요.연구에 참여한 미국 시카고필드박물관 니겔 피트만 연구원은 “85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앞으로 아마존에 살고 있는 1만 6000종의 나무가 어떤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는지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을 원판 가운데로 옮기면 설탕물이 나오는 상황을 보여 준 거예요.그 결과, 실험에 참여한 9마리의 뒤영벌은 모두 설탕물을 먹기 위해 모형벌을 따라 공을 굴렸어요. 실험을 반복할수록 공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점점 짧아졌지요. 뒤영벌이 새로운 상황을 확실히 배운 거예요.연구팀은 이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궁금했는데, 직접 신문 만드는 기계를 볼 수 있었답니다.신문 만들기 체험에도 참여해 ‘박서준 신문박물관 방문’기사도 썼어요. 제가 작성한 기사를 신문으로 출력하니 멋지더라고요.기자단 친구들도 내 이름이 들어간 나만의 신문을 만들어 보길 바랄게요. ★기사 2 국립중앙박물관‘세계유산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을 배우기 위해 학교 지원 프로그램이나 대기업이 지원하는 외부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세 학생이 저글링 수학으로 논문을 쓴 것도 학교 연구프로그램 덕분이었다.시작은 김장수 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만난 일이었다. 김 교수는 어릴 적 장난삼아 했던 귤 저글링이 수학과 매우 ... ...
- 제19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대상), 영어단어를 암기하는 노하우를 통계적으로 정리하기도 했다(2015년 초등부 대상).참여하는 학생들은 주제를 정하는 것부터 자료를 수집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뒤 결과를 해석하는 것까지 스스로 해낸 다음 한 장의 포스터에 담아야 한다. 평소에 궁금했거나 문제라고 생각했던걸 통계적으로 ...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특히 신발끈 끝에 물체를 달아서 무게가 커질수록 풀어지는 빈도가 많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데일리-다이아몬드 연구원은 “매듭에 직접 작용하는 힘과 끈 끝부분을 당기는 힘이 필수 요소”라며 “두 힘이 함께 작용하지 않으면 신발끈이 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진은 이번에 밝혀낸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경향을 몰라 값이 부정확하거나 조기 예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연구에 참여한 독일 뮌헨 헬름홀츠연구소 환경의학연구소 클라우디아 트레이들-호프만 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 꽃가루와 곰팡이 포자가 좁은 지역에 머문다는 통념이 틀렸음을 입증했다”며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조기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