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작은 친구는 끝 지점까지 걸음 수가 많고 보폭이 큰 친구는 걸음 수가 적었지요. 그 다음 총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각자 걸음 수와 자신의 평균 보폭을 곱했습니다.그런데 구간의 거리를 잰 값은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아마 거리를 재야겠다고 생각하면서 걷는 바람에 자신이 측정한 평균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쫓아다니던 어느 날, 해밀턴은 군사공학자였던 아버지가 토끼 구멍 속에 숨겨 놓은 총과 화약들을 우연히 발견했다. 남동생을 불러다 앉힌 다음, 원료를 이것저것 섞어서 놋쇠 탄약통에 재워 넣고 반응을 살펴보는 실험을 했다. 쾅! 탄약통이 폭발했고 해밀턴은 까무러쳤다. 장시간에 걸친 수술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에요.“어종에 따라 한 해에 잡을 수 있는 양을 정해 놓는 것을 총허용어획량(TAC) 제도라고 해요. 앞으로도 우리가 맛있고 건강한 수산물을 먹을 수 있도록 정한 국가 간의 약속이랍니다. 또한, 알을 낳는 시기와 어린 고기는 잡지 못하도록 법으로도 정해서 수산자원이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가족 품으로 돌려주는 일을 한다. 6․25 전쟁 때 실종돼 아직 유해를 찾지 못한 미군은 총 7900명. 그 가운데 약 3000명의 유해는 한국에 있고 나머지 약 5000명은 북한에 있다. 한국에서는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 지금도 계속해서 발굴을 하고 있고, 진 박사는 이 때 발굴한 유해 중에 혹시 미군의 유해가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더 이상 스스로 일어나지 못하면 지쳤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훈련은 일주일에 3일씩 총 8주간 이뤄졌고, 날이 갈수록 훈련 강도는 점차 높아졌다. 연구팀은 훈련 결과를 작년 1월 학술지 ‘실험생물학’에 발표했다(doi:10.1242/jeb.114975). 과연 혹독한 훈련을 거친 도마뱀 선수들의 최종 기록은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매달 직접 만나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가족 복지제도가 인상적ORNL의 연구원은 총 4400여 명인데, 직군은 연구개발자(R&D), 엔지니어, 매니저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직군에 따라 하는 일이 다르고 생활방식도 차이가 크다(그럼에도 직군 별로 연봉의 차이는 크지 않다. 한국과 달라 매우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281-1로 기존에 발견된 가장 큰 소수보다 500만 자리나 더 길다. 이번 발견으로 쿠퍼 교수는 총 4개의 새로운 소수를 찾았고, 3000달러의 상금을 거머쥐게 됐다.이번에 찾은 소수는 49번째 ‘메르센 소수’이기도 하다. 메르센 소수란 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였던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소수로, 2의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점이 무척 아쉽습니다.초상화를 지켜야 하는 이유3개월 동안 일곱 가지 단서 활동을 통해 총 일곱 임금의 실제 초상화를 만나봤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떤 초상화가 가장 기억에 남았는지 궁금하네요. 조선 시대에는 어진 외에도 수천 점이 넘는 초상화가 그려졌습니다. 선조에게 초상화가 어떤 ... ...
- 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않다).어드밴스드 라이고초기 라이고보다 거울의 질량이 4배 가량 늘었다. 그리고 총 4단계(거울-거울-철판-철판)에 걸쳐 유리섬유(지름 0.4mm)로만 연결시켰다. 장난감 ‘모빌’이 차례로 줄에 매달려있는 모습과 비슷하다. 거울과 철판의 무게를 다 합치면 360kg에 달해 주변의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악어의 잘 알려지지 않은 과거사를 슬쩍 들춰보자.오늘날 지구에 살고 있는 악어는 총 24종으로, 이들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개의 과로 구분된다. 2종은 주둥이를 닫았을 때 앞쪽 이빨이 절반가량 입 바깥으로 튀어나와 있는 ‘가비알과’, 8종은 입을 닫았을 때 아래 이빨이 위 이빨에 모두 가려지는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