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잠겨있던 물체에서 지문을 검출할 때 지질성분에 달라붙는 ‘소립자 시약(SPR)’이 가장
효과
가 좋았다고 2013년 학술지 ‘과학과 정의’에 발표했다.소립자 시약은 이황화몰리브덴이나 이산화티타늄 같은 미립자를 계면활성제와 섞은 시약이다(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가진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벌을 주려 한 결과였다. 그 합리화가 어디까지 진실이든 간에
효과
는 있었다. 육체 속에 살던 인류는 본래 합리화를 통해 정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생물이었으니까. 하지만 탁자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한 번 죽고, 육체를 가진 인류의 역사상 거의 모든 정치인들이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한다. 바턴 연구원은 논문에서 “고맙다는 말은 갈등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예방하는
효과
도 있다”며 “부부 사이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어려움에 대해서도 서로 고마운 마음을 표현함으로써 함께 긍정적으로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다시, 명절이 가까이 다가왔다. 이 땅의 여성에게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게임 속 용사가 여관에서 푹 쉬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렇게 푹 잠을 자는 것도
효과
적이지만 잠깐 TV를 보며 멍 때리기, 시시콜콜한 농담 따먹기 등도 정신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두 번째 방법은 음식이다. 특히 달달한 포 도당은 정신력 충전에 도움이 된다. 의지력 사용으로 자아 고갈 현상이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그래픽 공학과의 앤드류 지라스키 교수는 그림을 그릴 좌표의 생김새에 따라 착시
효과
를 결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관람객은 누구나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보이는 대로 그림을 인식해요. 관람객의 시야를 가상의 벽이라고 가정하면, 그림에서 반사된 빛이 이 가상의 벽에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살의 간격을 일정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
를 만들었답니다. 창호살의 간격은 건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졌습니다.다섯 번째 관문은 새로운 띠살창호를 만드는 겁니다. 단, 예전부터 지켜온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이번 관문을 넘으면 정전에 모신 태조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신뢰할 수 있는 논문은 단 한 편뿐이었다.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지 않았거나, 플라시보
효과
등을 고려하지 않는 등 기본적인 설계가 잘못된 연구가 많았다. 2010년 미국 산부인과의사협회가 임산부라도 하루에 커피 두 잔 정도는 안전하다는 권고를 내놓으며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아직까지 커피가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착시 덕분에 착시
효과
를 만드는 데 자신감이 생겼어요. 역시 착시 전문가다워요. 이제 궁금한 점을 여쭤볼게요. 착시에 대한 재미난 연구도 많다고 들었거든요. 일단 사람만 착시를 보는 게 아니라면서요?동물도 착시를 봐요. 동물의 착시 중에서는 ‘주관적 윤곽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 ...
[News & Issue]“지켜보고 있다” 쓰레기 투기 뚝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반사회적 행동을 여러 번 지적하는 것보다 타인의 시선을 한 번 느껴보게 하는 것이
효과
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생물학·의학 분야 전문지 ‘피어제이(PeerJ)’ 2015년 12월 1일자에 게재됐다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은 몸의 운동성이 떨어지는 파킨슨 병 환자들에게
효과
적으로 쓰이고 있다. DBS 시술은 파킨슨 병 관련 뇌 부위에 광섬유보다 훨씬 굵은 전극을 삽입하고 필요한 때에 전류를 공급해준다. 바로 이 DBS 시술에서 전극 대신 광섬유를 삽입해 주면 인간의 뇌 속에도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