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193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
2021.01.27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우리 몸의 RNA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도록 보호
장치
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RNA를 보호하고 세포로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이뤄져왔다. 현재는 지질나노입자(liquid nanoparticle) 기술이 가장 널리 쓰인다. 지질나노입자는 여러 ... ...
스마트폰처럼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등의 뇌 관련 질환 치료에 활용할 계획이다. 연구를 이끈 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장치
는 이식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가능해 배터리 교체를 위한 추가 수술이 필요 없다"며 "뇌 이식용 기기뿐 아니라 인공 심박동기, 위 자극기 등 다양한 생체 이식용 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뉴욕~런던 4시간30분에 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고온으로 처리해 배기가스는 줄이고 추력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콩코드에는 이런
장치
가 없었다. 바이스 대표는 “화석 연료 대신 100% 합성 연료를 사용할 계획”이라며 “2050년 탄소 중립이 실현되기 전이지만 바로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콩코드의 퇴역에는 소음 공해도 있었다. 비행기가 ... ...
웨어러블 기기 적용 친환경 나노발전기 개발 청신호
연합뉴스
l
2021.01.25
수 있는 측정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웨어러블 소자 및 생체 삽입 전자
장치
가 지속해서 개발되고 있지만 이런 장비에 효과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나노 발전기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높은 발전 효율을 가지는 무기물 기반 나노 발전기는 생체 독성을 ... ...
[과기원은 지금] GIST 양자중첩 적용한 절대보안 무선통신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유기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유기반도체는 접히는 디스플레이처럼 유연한 전자
장치
에 필수 부품이지만 전기전도성이 낮아 실용성이 부족했다. 연구팀은 방향족 고리화 반응을 이용해 탄소(C) 5개, 질소(N) 1개로 이뤄진 C5N 구조체를 얻었다. 이 구조체는 600도 고온에도 잘 견디며 염화수소 ... ...
코로나 뚫고 국내 독자 개발 ‘차세대중형위성 1호’ 첫 발…러시아 발사장으로 이송
동아사이언스
l
2021.01.22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무게를 100kg 이상 줄였다. 플래시 메모리 방식의 영상자료처리
장치
를 적용해 무게와 비용을 줄이고 저장용량은 늘렸다. 또 핵심 구성품 대부분을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이 개발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발사되면 ... ...
[랩큐멘터리]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장치
맞춰 진화하는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1.21
웨어러블 디바이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
장치
가 얇아지면 함께 얇아져야 하고,
장치
를 접을 수 있으면 배터리도 접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피부에 부착 가능한 배터리, 렌즈형 배터리 등 특수한 배터리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박수진 포스텍 화학과 교수가 이끄는 ... ...
조종자 동작 그대로 구현하는 대형 로봇팔 개발..."대형 재난현장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사람의 양 팔 역할을 하는 6m 길이의 로봇팔 1쌍이 달려 있는 형태다. 조종자가 웨어러블
장치
를 착용하고 움직이면 그 동작대로 움직인다. 최대 200㎏에 달하는 대형 장애물을 옮기거나 22㎜ 두께의 철근을 절단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시멘트 덩어리를 부수고 샌드위치 패널을 뚫는 등의 ... ...
인공지능 활용해 무선 충전 시스템 성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20일 밝혔다. 무선충전 시스템은 코일에 전류를 흘렸을 때 생기는 자기력으로 전자
장치
를 충전한다. 코어는 코일을 감는 축이 되는 부품이다. 코어는 철로 이뤄진 자성체이기 때문에 코어의 모양을 바꾸면 코일이 만드는 자기력선 분포가 바뀌고 무선충전 시스템 성능에도 영향을 준다. ... ...
특정 공간과 장소 찾아가는 뇌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해마는 공간과 위치, 물체의 상황과 환경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뇌 영역과 별개의 입력
장치
및 정보처리 전략을 활용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물체가 없는 단순한 환경에서는 CA1 표면에서 하나의 신경세포가 활동전위를 발동시키는 빈도수를 공간과 위치 정보와 매칭해 저장하는 ‘빈도코드(rate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