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공"(으)로 총 2,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자의 진동에너지로 정보 저장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7
- 현실에서 만들고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재동 신물질과학전공 교수와 김영재 연구원이 밸리트로닉스에서 정보 저장과 처리를 위해 구현해야 할 성질을 만들고, 이에 따라 특이한 전류 흐름을 형성하며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계곡’이라는 ... ...
- 금속유기 분자체로 초미세먼지 효과적으로 걸러낸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2
- 금속유기 분자체 생성 기술이 개발됐다. 정낙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금속유기 분자체의 수분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배위화학적 환원법’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배위화학은 금속 이온과 다른 분자 및 이온의 결합에 의해 생기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 ...
- [과학게시판]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산업 토론대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2019년 후기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스쿨의 ‘해양과학 런던의정서 경영공학’ 전공 ‘외국인 전문석사과정’을 운영한다. 에티오피아과학고등교육부와 인재양성 협약을 체결, 2020년 연 7명 이내 박사과정 신입생을 선발한다. ... ...
- [의학게시판] 길병원, '간호사의 일상' 전시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내달 12일까지 가천갤러리에서 '간호사의 일상' 전시회를 개최한다. 한국화를 전공했고 현재 내과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오영준 간호사의 작품들로, 생명의 최전선에서 헌신하는 간호사들의 모습을 담았다. ■ 이대서울병원이 13일 오후 3시 중강당에서 ‘비만하고 싶지 않다면 꼭 들어야할 ... ...
- DGIST 신임 부총장에 김칠민 교수·김호영 책임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교수를 거쳐 DGIST 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 마이크로레이저융합연구센터장, 신물질과학전공 교수 등을 역임했다. 김호영 융합연구원장 겸 연구부총장은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학사 및 석사를 받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 당시 포항제철(현 포스코) ... ...
- 담배회사의 아이러니, 그들은 왜 7조원을 건강 연구에 투자했나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독성연구자, 임상연구자 등 과학자 430여명이 여전히 R&D에 집중하고 있다. 생명과학을 전공한 제약바이오 분야 인력이 가장 많다. 100년의 역사를 훌쩍 넘긴 일반담배 회사가 최근 20년 동안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붓는 이유는 일반담배보다 덜 해로운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PMI 큐브 전경. ...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알 수 있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 과를 두루 다룰 수 있는 가정의학과를 전공했다. 상급종합병원뿐 아니라 1차병원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수련했다. 군의관으로 제대한 뒤에도 연구 개발에 대한 꿈을 계속 갖고 있었다. 그러다가 학부 때부터 친했던 친구인 백승욱 전 루닛대표(현 ...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06.02
- 뇌 원리를 밝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은 모르는 게 많다”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뇌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질수록 뇌 손상으로 인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86-019-1119-1 ... ...
- 美 시카고대학에 공대 설립…"미국내 첫 분자공학 전문 대학"연합뉴스 l2019.05.29
- 이듬해부터 학부생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 지난해 처음으로 분자공학을 세부 전공으로 선택한 학부 졸업생을 배출했다. 티렐 박사는 프리츠커 공대 규모를 5~10년 내 현재의 2배로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시카고대학 측은 공대 설립 기금 포함, 프리츠커 일가가 시카고대학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