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정"(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이 이동경로와 카메라 시야의 대각선을 일치시켜서 튼튼한 삼각대 위에 카메라를 고정시킨다. 맨 처음 달의 위치는 대각선의 가장 하단에 위치시키고, 촬영은 3분에서 5분간격으로 한다. 그런데 이번 월식은 식의 진행시간이 워낙 길기 때문에 50mm 표준렌즈로 처음부터 끝까지 기록할 수 없다. ... ...
-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실행시키면 된다.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속도나 성능이 고정돼 있다. 예컨대 인텔사에서 개발한 386-DX-33이라는 중앙처리장치는 32비트급 중앙처리장치로서 그 속도가 33Mhz다. 따라서 일단 컴퓨터를 구입하면 사용자가 어떻게 해볼 방도가 없다.그러나 흔히 '메모리'라 ... ...
- 곳곳서 기상이변 생태계 파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크립톤 산화질소 오존 등으로 구성돼 있다.공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질소는 질소고정 박테리아에 의해 단백질을 합성, 식물의 영양분으로 사용되며, 산소는 생물체의 호흡에 절대 필요한 원소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은 산소에 의해 산화,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전환된다.공기가 인간 ...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수중발레는 단연 압권이다. 바닷물의 구조도 이중(물 속의 물)인데, 이도 역시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마지막 장면은 은하로의 상상여행. 우리 은하 속의 별 하나 하나는 인간이 만들어낸 창조물로 변하고, 이것이 다시 인간의 뇌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이른바 '브레인 ...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안정되지 못하면 정확한 스케치가 곤란하다. 따라서 의자와 스케치 용지를 받쳐 고정할 수 있는 책받침 형태의 스케치판을 함께 준비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스케치에 필요한 모든 준비가 끝났으면 망원경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관측 및 기록을 한다. 달의 관측에 있어서는 그림자의 길이와 ...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사본을 한부 이상 더 보관할 필요가 생긴다.보통 백업이라 함은 하드 디스크와 같이 고정된 저장장치에 있는 내용의 사본을 플로피 디스크나 백업 드라이브(테이프 드라이브) 등에 별도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프 백업 장치를 사용해 하드 디스크에 있는 내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백업해 ...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마이너스저항', 예컨대 돌고래와 같은 모양과 같은 무게의 물체를 만들어 흐르는 물속에 고정시킨 뒤 측정하면 물리적으로 가능한 속도를 내게 할 수 있다. 실제로 돌고래는 이런 이론적인 속도보다 더 빨리 헤엄치고 있다. 돌고래는 자신의 몸의 구조가 지니고 있는 가능성보다 더 빠른 속도로 ... ...
- 햄과학동아 l1993년 04호
- 수시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도 달라진 점이다. 과거에는 허가받은 장소에서만 고정된 장비를 이용해 아마추어무선을 할 수 있었다. 이동시에는 사전에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그러던 것이 작년 6월부터 관할 체신청에 이동운용신청만 하면 아무 곳에서나 교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
- 2010 지능로봇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더욱 어렵다.21세기에 들어서면 1세대 로봇은 거의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팔 모양의 고정형 로봇은 계속 산업현장에서 발견되겠지만, 이들은 상당한 정도의 감각 기능을 갖고 매우 유연성있게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로봇의 손(end effector)은 그 모습과 기능이 지금보다 훨씬 인간의 손가락과 ... ...
- 20세기 최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과학동아 l1993년 04호
- 결과와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있다. 과학기술청 자료에 따르면 이산화탄소(${CO}_{2}$) 고정화 기술은 2008년, 암전이를 막는 유효한 수단은 2004년, 에이즈치료법은 2006년,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일영(日英)자동번역기는 2008년, 핵융합로는 2030년 이후에 실용화될 것이라고한다.과학저널리스트들은 20세기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