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솥 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장석, 운모 등 광물 조각들이 조금씩 분해되거나 부서지면서 차츰 홈이 커져 커다란
구멍
이 돼 가마솥 바위가 만들어진다.만약 홈 안에 이끼나 초목 등 식물이 자리를 잡으면 화강암은 더 빨리 풍화된다. 화강암에 뿌리를 내린 식물이 유기산과 부식산을 내뿜으면서 암석의 화학적 풍화를 일으켜 ... ...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실었다. 졸리코퍼 교수는 고해상의 X선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해 투마이 화석에 뚫린
구멍
들을 빈틈없이 메워 원래의 얼굴을 만들어냈다.또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프랑스 포이티에대 마이클 브루네 교수팀은 추가로 발굴한 치아와 턱 화석을 같은 잡지에 발표했다. 브루네 박사는 “새로 발견된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연산호가 있다. 돌산호의 석회질 골격은 돌덩어리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아주 작은
구멍
들이 뚫려있고, 그 속에 말미잘처럼 생긴 폴립이 들어있다. 이 폴립이 한 개체의 산호이며, 탄산칼슘을 분비해 산호초를 만든다. 말미잘이나 해파리와 달리 대부분 산호들은 수많은 폴립이 모여 군체를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를 반영했다. 원자로엔 다른 실험장치와 마찬가지로 냉중성자원 설치를 위한 수직
구멍
과 여분의 부지가 마련됐다. 그러다 1990년대 후반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냉중성자연구시설 설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이들 기술이 순수 연구를 벗어나 산업화되면서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랑디1938년, 알루미늄스위스의 디자이너 한스 코레이의 작품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
을 뚫어 아름다움 뿐 아니라 가벼움과 빗물이 고이지 않는 효과까지 갖고 있다. 유럽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은 작품이다. LCW1945년, 성형합판건축을 전공한 찰스 임스가 만든 성형합판 나무 의자로 현대 가구 ... ...
혼자 힘으로 만든 공상과학영화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성수기인 2월에, 이름도 없는 SF 영화제를 위해 상영관을 내줘야만 했다. 과연 낙타가 바늘
구멍
에 들어갈 수 있을까?루이스가 가진 것은 수년 간 쉬지 않고 본 SF 영화필름과 SF 지식, 그리고 열정을 담은 두 발뿐. 상영관을 찾아다니며 SF 영화제를 설득한 그에게 커즌 소호 극장이 흔쾌히 상영관을 ... ...
빛을 나노 공간에 가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종래보다 수백 배 이상 빛을 오래 가둘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광결정 구조는
구멍
을 3차원 공간에서 규칙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빛이 존재할 수 없는 지역을 만든 것으로 빛의 절연체라고도 불린다.송 박사는 이 구조를 최적화시켜 수십나노초(1ns=10억분의 1초)동안 빛을 가둘 수 있음을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러나 현재는 복부 4곳에
구멍
을 뚫어 시술하는 내시경 수술이 보편화됐다. 의사는
구멍
한 곳에 내시경카메라를 넣고 모니터를 통해 복부 안을 촬영하면서 환부를 살핀다. 다른 곳으로는 수술기구를 넣어 환부를 절개하거나 분리한 뒤 소작하고, 꿰매는 작업을 한다. 이렇게 담낭 절제 수술은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고래들이 배의 옆구리를 들이받곤 하는데 아랍 배는 쉽게 침수되지만 중국 배는 배에
구멍
이 나도 잘 견딘다’라고 써 있다. 신안선은 이 기록이 사실임을 증명한다”고 강조했다.세계 조선사에서 가장 큰 수수께끼 중 하나가 중국 명나라 ‘정화의 배’(정화보선)다. 정화는 당시 명나라 해군 ... ...
50나노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통하는 정도다.연구팀은 공 모양의 나노 신소재(덴드리머)를 이용해 지름 3nm인 공기
구멍
이 균일하게 나 있는 박막을 만들어 유전율 1.6을 실현했다. 이 교수는 “이 유전박막은 안정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50나노급 이하 차세대 반도체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