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올여름 무더위쉼터 어디에?”… 수학이 답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위치 선정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며 “새로 도입할 무더위쉼터의 입지를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도시 기후’ 7월 14일자 온라인판에 소개됐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북해 바닷속에 숨겨져 있던 빙하기의 지형이 다시 세상에 드러났다. 온난화 기후에서 빙하가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는 평가다. ... 영국 남극조사연구소 연구원은 “기후가 따뜻해질 때 빙하 아래 지형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감광시켜 조판하는 방식이다. 금속 활자는 수평과 수직을 맞춰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는
데
, 사진 식자기 시대로 넘어오며 공간의 자유로움을 얻었다. ‘A V’처럼 특정 글자들을 나열했을 때 만들어지는 빈 공간을 없애는 커닝(kerning)도 가능해졌다. 오늘날 대중적인 글꼴로 자리매김한 ‘헬베티카체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능력을 가진 것은 천지 차이”라고 말했다.국내 우주개발기본계획은 5년 단위로 업
데
이트된다. 조만간 새 정부 시작에 맞춰 개정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누리호 사업은 내년 5월 발사와 함께 종료된다. 하지만 고 본부장은 “발사 두 번으로 발사체 개발이 끝났다고 할 수는 없다”며 “문제점이 ... ...
해양
데
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부사장은 3일간의 교사직무연수를 마치며 “해양
데
이터 리터러시를 통해 학생들은
데
이터에서 도출한 정보와 지식으로 해양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책임 있게 결정할 능력을 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 ...
[현장취재➊]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자들의 새해는 바로 오늘!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대원이었어요. 그 결과 익산 지역에서 수원청개구리 신종인 노랑배청개구리를 발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지요. 그 비결은 무엇일까요? 유상홍 연구원은 “밖에 나가서 무언가를 보지 못했다고 포기하지 말라” 며 “꾸준히 나가서 자세히 관찰하다 보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게 될 ... ...
[만화 뉴스] 수수께끼는 풀렸다! 증거는 공기 중에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기술이 더 발전하면 범죄 현장에서 범인의 DNA를 식별하거나 멸종위기 동물을 추적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환경 DNA : 생명체에서 직접 채취한 것이 아닌 물이나 토양, 공기 등에서 간접적으로 채취한 유전 물질. eDNA라고도 한다 ... ...
[4컷 만화] 소설이 고분자 물질에 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오스틴의 소설 ‘맨스필드 파크’의 한 구절을 고분자 물질에 저장하고 다시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총 153개의 알파벳과 띄어쓰기로 이루어진 소설의 한 구절을 먼저 허프만 알고리즘●을 통해 632자리의 2진법 숫자로 변환했어요. 즉, 소설의 구절을 0과 1로만 이루어진 63 ... ...
[특집] 숫자 10,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첫 번째 숫자이자 최고를 뜻하는 1도 아니고, 행운의 숫자 7도 아닌
데
숫자 10이 왜 가장 완벽한 숫자냐고? 좋아! 이 몸이 직접 내 소개를 해주지. 깜짝 놀랄 준비하라고!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핫이슈] 원주율 세계 기록 달성! 소수점 아래 62조 8318억 5307만 1796번째 자리까지 계산했다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지름이 1cm일 때 원의 둘레는 3.1cm와 3.2cm 사이의 값이에요. 원의 지름이란 원의 한가운
데
점을 중심으로 직선을 그어 원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잰 길이에요. 해설 수학자들은 좀 더 편리하게 원의 둘레를 구할 방법을 찾기로 했어요. 이런저런 방법을 생각한 끝에 원의 지름이 커지면 원의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