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발사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우리는 처음으로 우주범선의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미래의 우주범선 개발에 분명 중요한 정보가 될 겁니다.” 지구에서 2광년(18조9천200억 km)이나 떨어진 행성‘JW103683’에 가기 위한 우주범선 파피용은 소설 속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주범선은 1976년 칼 세이건이 처음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의료진이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끼는 인공 팔(바이오닉 암)’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생체모사형 메카트로닉스 융합기술개발 사업’으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총 6년간 365억 원이 투입될 대형 연구 프로젝트다. 총괄 책임연구자이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장으로 ... ...
- [Editor’s note] 미래 최고의 직업은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요즘 인터넷을 하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겁니다. 그만큼 일반적인 일이 되었지요. 저도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직업입니다. 왠지 수학을 좋아하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의 미래는 밝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드네요. ^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할 수도 있죠. ‘중력파 나오는 것만 계속 보라는 거냐’는 불평이 나올 수도 있고요. 미래의 일이지만, 이제 중력파 연구자와 천문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름지기 사람이 노동 현장에 있어야 삶의 가치를 찾고 자아도 펼치는 법인데…” ‘미래 사회에 대한 여러 모델을 만들어 사람들과 의논해야겠다’고 생각하던 백종현 서울대 철학과 명예교수의 눈 앞에, 지난해 7월 협력자가 나타났다. IT 전문 변호사인 김경환 법무법인 민후 대표변호사가 동참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평소에 SF 영화나 게임 등을 유심히 관찰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미래의 도시를 상상하는 데 도가 튼 사람들이 많은 콘텐츠니까요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동안 얼마나 창의적으로, 얼마나 오류 없이 잘 돌아가는 코드를 짜느냐가 관건이었다. 미래의 합성생물학과 학생들도 아마 이런 문제를 풀게 되지 않을까. ‘살아있을 때는 바나나 향을 내지만 죽으면 바닐라 향을 내는 대장균을 설계하라.’미국 MIT는 2003년부터 매년 합성생물학 프로그래밍 대회인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금까지 우리 곁에서 숨 쉬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이들의 명맥이 가까운 미래에 끝나버릴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악어는 현재 인간 때문에 최대의 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악어의 위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70년 전에 시작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경제가 좋아지면서 ... ...
- [재미] 제15회 전국학생 과학 논술대회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대상 수상자에게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상금 50만 원, 초등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상금 30만 원이 수여된다. 전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과학 논술대회에 참가해 글쓰기 실력을 뽐내보자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성공하면 바로 다음 자리 걱정을 시작해야 한다. 연구를 고민하는 시간보다 가족의 미래를 걱정하는 시간이 더 길다. 이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지금 그만두는 게 나을지 매일같이 고민이다.K박사에겐 아픈 기억이 있다. 수 년 전, 젊은 혈기로 독창적인 연구를 시도했다가 망한 경험이다.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