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지방의 높은 산악지대에 많은 얼음층이 뒤덮혀 해수준면이 하강하였으며 간빙기에는
반
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또 이 세에는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지구상의 동식물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세는 인류의 조상이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대기의 압력(기압)을 재는 단위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Korean Large Telescope)프로젝트안을 내놨다.이 대형 관측망원경이 설치될 장소는 캘리포니아
반
도 중간쯤 위치한 멕시코의 산 페드로 마티르(San Pedro Matir)로 결정됐다. 마우나케아산 못지않은 최적의 관측지였다.하지만 대형 광학망원경을 처음으로 설계해 제작하기란 녹록치 않은 작업이다. 그만큼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무척 좋아했기에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는 글짓기에도 도전을 했지요. 우연히 글짓기
반
에 들게 되었는데 글짓기를 잘 한다는 칭찬도 많이 받고 글짓기 대회에서 상도 타게 되어서 신이 났지요. 그래서 더 글짓기를 하게 됐고요. 중·고등학생 시절에도 책사랑은 계속돼 방학이 되면 도서관에서 책을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불과 10여년 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2교대, 3교대에 휴일까지
반
납하며 우주 연구에 열정을 불사르는 연구원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이제 국내 기술진이 주도적으로 위성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올해는 한국의 우주 원년이다. 아리랑 2호는 성공적으로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줄기세포 연구의 가능성이 과장돼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번햄연구소 이
반
스나이더 박사는 “아직까지 줄기세포는 손상되거나 잘못된 세포를 다시 회복시키는 단백질인 ‘샤페론’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세포를 아예 대체한단 뜻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래도 불과 몇 년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교과서에 없는 새로운 실험들을 다수 소개했다.“66페이지의 실험은 논문 연구를 기
반
으로 학습에 구현하기 위해 직접 개발한 것”이라며 하나하나 자신이 개발한 실험 문제를 설명하는 박 교수의 목소리는 진지했다. 직접 사진을 찍고 편집까지 도맡으며 공을 많이 들였다고 한다. “학생 때부터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커다란 공룡들이 부슬부슬 비가 내리는 호숫가를 거닐고 있다. 목긴공룡이 긴 목을 쭉 뻗으며 한가로이 나뭇잎을 뜯고, 오리주둥이공룡은 소가 여물 먹듯 긴 풀잎을 우걱우걱 ...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5. 중생대 한
반
도는 동식물의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방해 공작은 노골적이었다. 우선 조선교육협회에 대한 인가를 내주기까지 거의 1년
반
을 끌었다. 그리고 조선교육령을 공포하고 경성제국대학 설립안을 만들어 1924년 5월 지금의 서울 종로구 동숭동 마로니에 공원 자리에 문을 열었다. 이른바 물타기였는데, 그 작전은 대성공이었다. 아인슈타인을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할까? 이번에도 갈림길의 앞에 모래아리 까끄르가 나타났다.“대단한걸? 벌써 사막의
반
이상을 건너왔군. 여기만 통과하면 이제 결승점이 보일 거야. 지금 보이는 길은 신기루야. 하나만 진짜 길이고 나머지는 모두 가짜지. 다음 푯말에는 사막에 관한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 설명이 잘못된 곳으로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로봇이 몸을 구부려
반
으로 나뉘면서 옆에 정육면체 2개로 된 ‘딸’ 로봇을 남겨둔다.
반
만 남은 어미 로봇은 새로운 블록 2개를 딸 로봇 위에 올리고 자신도 2개의 블록을 새로 연결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처음과 같은 로봇 2개가 만들어진다. 립든 교수는 “각 정육면체 안에 자신을 복제하는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