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짜힘들의 행진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가속좌표계인 지구에서 느낄 수 있는 가짜힘의 효과다.이렇듯 가짜힘은 작용-반작용의
법칙
을 만족하지 않으며, 가속좌표계에서만 등장해 가속운동을 하는 물체의 운동을 설명해 주는 제5의 힘이다. 사실 가짜힘은 물리학의 용어로는 ‘관성력’이라고 부른다. 운동하던 물체가 갑자기 서거나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하고는 찬 물을 내버린다. 바닷물에서 사라진 열에너지만큼 일을 하기 때문에 에너지보존
법칙
에 위배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가 존재한다면 인간에게 그 효용은 말할 수 없이 클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같은 일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일을 하지 않고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열을 ... ...
바늘구멍 황소바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조심하자.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지나는 소리는, 말하는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연의
법칙
에 따라 휘어져 가버리니까. ‘등잔 밑이 어둡다’고 했다. 속담에서 처신의 지혜뿐만 아니라 ‘등잔 밑’에 숨겨진 과학을 읽어보자. 생활의 모든 곳에 과학이 있다 ... ...
노벨물리학상/추·코엔타누지·필립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태양 아래 있으면 따뜻함을 느낀다. 빛의 에너지가 우리 몸에 전달됐기 때문이다. 물리
법칙
에 따르면 빛은 우리 몸에 에너지를 전달해 줄 뿐만 아니라 운동량도 전달한다. 즉 빛의 작은 알갱이들(이하 ‘광자’)이 우리 몸에 수없이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단지 광자 하나하나가 우리에게 주는 힘은 ... ...
다이어트 거울로 날씬한 몸매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는 물체까지의 거리와 같다. 또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반사의
법칙
을 만족시킨다(그림1).평면거울에서 빛은 평행하게 들어와 모두 같은 각도로 반사돼 나아가므로 물체의 모습이 일그러지지 않는다. 빛의 진행 경로가 달라지면 물체의상은 다르게 보이는데, 요술거울처럼 ... ...
3. 점쟁이 예언을 상대론으로 풀어라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생각이 든다.'고급일반 물리Ⅰ'수업은 어떠한 새로운
법칙
을 발견한 사람이 그
법칙
을 생각해내기까지의 과정을 잘 알려줬다. 과정을 알면 결과도 알 수 있는 법. 특별히 알고자 하지 않았는데도 과정을 더듬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 결과를 알게 됐다. 수업은 늘 곤혹스럽게 느껴지던 수식을 ... ...
모형로켓과 물로켓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불어넣어 압축하면 공기밀도가 높아진다. 이때 마개를 열어주면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에 의해 로켓이 날아간다. 발사방법①발사대 헤드에 흙이나 모래가 들어가지 않도록 비닐이나 돗자리를 깐다. 발사대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공기펌프를 연결한다. 핸드 브레이크를 한 번 눌렀다가 뺏다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통제하고 사육해서 관광 사업을 벌이려는 해먼드 박사의 야심이 본질적으로 자연의
법칙
에 위배된 것임을 ‘쥐라기 공원’에서 보여주었다. 자연은 비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혼돈계이기 때문에 완전히 통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현대 과학의 이론(특히 카오스 이론)을, ‘쥐라기 공원의 ... ...
② 자연요법7: 동종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이를 ‘유사의
법칙
’이라 부르는데, 동종(同種) 치료란 바로 이
법칙
에 근거를 둔 의학의 한 형태다.동종의학은 지금부터 약 2백50년 전 독일의 사무엘 하네만이라는 의학자가 처음 정립했다. 당시 하네만은 말라리아 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는데, 어느날 치료제를 직접 ... ...
① 복잡성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요컨대 혼돈은 이해받게 될 날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고전물리학의 결정론적인 자연
법칙
에 숨어 있었을 따름이다. 1963년 미국 기상학자인 에드워드 로렌츠(1917- )가 나비효과를 처음 발견했을 때 컴퓨터 화면에는 일정한 모양새를 가진 그림이 나타났다. 혼돈(불규칙성) 속에 모양(규칙성)이 숨어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