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무척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이 기둥은 누가 조각한 것일까.‘조각가’는 독수리성운
오른쪽
위에 보이는 밝고 푸른 별무리들이다. 이들은 무겁고 뜨거운 젊은 별들로 강렬한 빛(자외선)을 내뿜으며, 독수리성운의 기둥을 비출 뿐만 아니라 섬세하게 조각하는 것이다. 강렬한 자외선에 기둥이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좌표 위에 점으로 표시된다.예를 들어 단맛은 그래프에서 위의 왼쪽, 신맛은 위의
오른쪽
등에 나타난다. 증류수와 석수의 경우 실제 사람이 맛을 보면 매우 미세한 차이를 갖지만, 전자혀의 그래프에서는 멀리 떨어져 둘 사이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한편 최근 국내의 한 벤처기업에서도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는 편이다. 건무는 왼쪽 안주머니에서 수첩을 꺼내 자신의 학생증을 쳐다봤다. 학생증
오른쪽
에는 사진이 붙어있고, 아래에는 ‘김건무’라고 쓰여 있다. 왼쪽에는 금색으로 반짝이는 IC칩이 붙어있다. 오늘 아침에 받은 상품권은 이 카드로 만들어진 학생증 속에 들어 있다.건무는 조금 전에 이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작업표시줄의
오른쪽
을 보면 열쇠고리 같은 아이콘이 생긴다.이 아이콘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인증서 관리자를 선택하면 인증서관리프로그램이 뜬다.한 예로 K은행의 인증서를 보자. 여기에는 서명 알고리듬에‘md5WithRSAEncryption’이란 문구가, 메시지 암호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볼 수 있는 때는 대적반의 경도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중앙부근에 오는 시기다.우선
오른쪽
(표)를 이용해 원하는 시각에 지구에서 봤을 때 목성 중앙부분이 해당하는 경도를 구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성 중앙경도 = 기준 중앙경도 + (원하는 시각-기준시각)×(360.0/595.67)여기서 원하는 시각과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대충 이해한 과동이는 보드를 가지고 눈밭으로 갔다. 스노보드는 스키와 달리 왼쪽 또는
오른쪽
으로 몸을 돌린 다음 타기 때문에 스노보드에 부츠를 고정시키기 전에 자신이 왼발잡이인지 오른발잡이인지 알아야 한다. 뒤에서 갑자기 밀었을 때 나가는 발 또는 공을 찰 때 디딤발이 되는 발이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보여줬다. 카를로스 역시 고종수처럼 왼발 프리킥을 했지만 바깥쪽으로 차 진행방향의
오른쪽
으로 휘어 들어갔다는 점이 다를 뿐이었다.과연 그들이 만들어낸 매직 프리킥의 비밀은 무엇일까. 이를 과학으로 풀어본다.직선경로에 비해 4m나 꺾여우선 카를로스나 고종수가 찬 공에는 회전이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을 보고는 저 세상으로 갈 때 건너는 강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오리온자리 리겔의
오른쪽
아래 람다(λ)별에서 시작한 강물은 땅 아래로 사라져 남반구의 하늘로 이어지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전체를 볼 수 없다. 에리다누스자리는 하늘의 남극 부근에 자리잡은 알파(α)별 아케르나르에서 끝난다.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녹차는 삼국시대부터 국내에 전래돼 1천년 이상 우리 민족과 함께 했다. 석굴암 본존불
오른쪽
벽면에 있는 문수보살의 손에는 찻잔이 들려있다. 이는 차가 생활의 일부분이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이처럼 차가 가장 먼저 전래된 나라 중의 하나인 우리나라는 오늘날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 양을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인공감미료로 쓰이는 ‘아스파르탐’이라는 물질은 왼쪽형은 단맛이 있으나,
오른쪽
형은 오히려 쓴맛을 갖는다.맛이나 냄새의 경우와 같은 원리이지만, 이보다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의약품에 종종 있다. 광학이성질체 중 하나는 몸 속에 들어가 목표가 되는 단백질과 작용해 원하는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