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행
한 무리
초단
일대
일동
동아리
조
d라이브러리
"
일단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 오빠, 저거 혹시 헨젤과 그레텔의 과자의 집이 아닐까?모험이 : 에이, 저건 투명하잖아.
일단
집으로 들어가 보자. 계속 반짝거리는 것이 있어.슬기 : 앗! 저길 봐! 오빠, 저게 뭐지?모험이 : 저건 광섬유잖아. 광섬유가 반짝인 거였구나. 메모가 붙어 있네. ‘아래를 보시오. 길을 잃은 자 빛과 물을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들어주는 식의 논쟁이 있었던 것. 하지만 이 때도 뾰족한 결론이 나지는 않았다.지금은
일단
최소 10년 정도 후에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는 분위기다. 국내 항공전문가는 “현재는 A380 같은 대형 여객기 시장과 B7E7 같은 중소형 여객기 시장이 모두 승산이 있다는 입장이 지배적”이라며 “지역에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란 불안감이 사용자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됐다.그렇다면 휴대전화는 왜 폭발했을까.
일단
전문가들은 휴대전화 폭발 역시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폭발이라기보다 갑작스런 연소현상이라고 지적한다.국과수 김윤회 과장은 “휴대전화 폭발은 일종의 전선폭발로 분류한다”고 말한다.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전쟁을 거치면서 더 이상 블랙홀에 관심을 갖지 않게 됐다. 거장과 신인의 ‘싸움’ 은
일단
휴전상태에 들어갔다.하지만 곧 싸움은 신인들의 승리로 판명났다. 1960년대 펄서, 퀘이사 등 새로운 별들이 관측되기 시작하면서 이들을 해석하기 위해 블랙홀 이론이 다시 등장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현실보다 더 심한 이유도 바로 이런 속성 때문이다. 이미지이기에 공유하기 쉽고,
일단
공유되면 쉽게 깨어지지 않는다는 얘기다.그런 결집력은 어디서 나올까. 개인이 사이버 공간에 우후죽순 생겨나는 동호회나 공동체에 참여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그 현상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얼핏 보면 ... ...
2. 눈의 움직임이 마음의 비밀을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서로 다른 배치와 형식이기 때문에 실세계 만큼 자극 위치 간의 응집력이 거의 없다.
일단
특정 웹페이지에서 나가면 원래의 자극도 사라진다. 그리고 이전 자극은 새로운 페이지와 거의 관련이 없을 수도 있고, 되돌아가기도 불가능하게 된다. 이런 까닭에 새로운 웹페이지로 이동하면 눈길을 끄는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파장영역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필름은 미약한 빛을 축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하늘이 매우 맑은 날 야외에서 이 부근을 살펴보도록 하자. 어두운 대상이니 은하수가 뚜렷이 보이는 장소여야 한다. 먼저 일등성 데네브를 찾는다. 데네브의 북쪽을 조심스레 살펴보면 다른곳에 비해 은하수가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상대성이론이 무너진다.양자정보의 또다른 특징은 측정이 비가역적이라는 점이다. 즉
일단
측정을 하면 양자정보의 상태는 변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원래의 상태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없어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없다. 양자정보의 이같은 특성이 도청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떠올랐다. 인티그럴 이미징은 여러개의 초소형 요소렌즈들이 만드는 입체영상이다.
일단
사진 필름 앞에 곤충눈(複眼) 모양의 렌즈를 배치하고 렌즈의 초점면에 필름을 일치시킨다. 이를 현상한 뒤 렌즈에 다시 통과시키면 상의 위아래가 바뀐다. 이를 현상해 렌즈 뒷면에 배치하고 뒷면에서 백색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박사는 블루 진이 장미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됐다는 것에 더 큰 비중을 둔다고 말한다.
일단
유전자가 발현하게 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좀더 선명한 파란색을 가진 장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블루 카네이션의 경우도 1997년 색이 훨씬 짙은 ‘문섀도우’ (Moonshadow)가 개발된 것을 비롯해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