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투명하고 얇은 데다 기존의 투명 전극보다 저항값이 250배나 낮았다. 앞으로 전자피부를 포함해 자연스러운 웨어러블 제품을 만드는 데 이용될 전망이다. 이 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실렸다. 거미줄에서 얻은 힌트연구팀은 첫 아이디어를 ‘거미줄’에서 얻었다. 거미줄은 ... ...
-
- 생체 센서? 이젠 몸에 붙여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끈적끈적한 젤을 입혀 피부와 전극이 확실히 붙어 있을 수 있게 했지요.검사 결과 이 전자회로는 매우 유연하고 튼튼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풍선에 붙인 뒤 바람을 넣어 늘어나게 하거나 심하게 뒤틀어도 망가지지 않고 전기신호를 측정할 수 있었답니다 ...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책임연구원인 이식 박사가 자신의 전공을 묻자, 독자 기자는 컴퓨터공학, 전자공학과 같은 답을 댔지만 정답은 화학이었다. 화학이라고 하면 흔히 실험실에서 흰 가운을 입고 시약과 실험 기구를 다루는 모습을 떠올린다. 독자 기자는 컴퓨터로도 화학 실험을 할 수 있다는 데 놀랐다 ...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태양은 표면이 플라스마 상태예요. 플라스마란, 온도와 압력이 아주 높아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되는 상태를 말해요. 이런 상태에선 수소 분자 두 개가 만나 헬륨 분자 한 개를 만드는 ‘핵융합’이 잘 일어나요. 이때 헬륨의 질량이 줄어들면서 어마어마한 양의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답니다. 태양이 ...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눈 내리는 겨울이다.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세상에도 겨울이 찾아왔다. 현미경 렌즈를 들여다보니, 세포나 곤충의 표면 등 의외의 곳에서 겨울 풍경 ... 회 초중등부 바이오예술상)눈 덮인 산이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집파리의 날개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했다. ...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전기신호에 비해 100배나 빠른 속도로 정보를 처리하는 회로를 만들 수 있거든요. 빛과 전자공학의 만남이 새로운 정보 처리의 시대를 열고 있는 겁니다.스마트 의료도 빛의 힘으로한편, 의료 분야에서는 빛이 X(엑스)선 촬영, CT 촬영, 레이저 치료와 같이 다양한 기기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필요한 도구입니다.양자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파동으로 표현됩니다. 만약 우리의 몸이 전자만큼 작다면, 우리의 몸도 울렁거리는 파동으로 그릴 수 있죠. 삼각함수는 파동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양자세계에선 우리의 모습을 삼각함수로 그릴 수 있다는 말입니다.중첩은 파동의 가장 큰 ... ...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파악할 수 있어요. 이를 바탕으로 매끈한 중간 영상을 만들어 붙입니다.”수학은 이렇게 전자기기와 미디어, IT, 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이언스북스와 KAIST, 동아사이언스가 함께 여는 ‘KAIST 명강4’는 이렇게 미래의 생활을 바꾸는 다양한 수학을 한 자리에 모았다. 이 교수 등 총 3명의 ...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첫 번째 위성인 아리랑 1호가 쏘아 올려졌다. 1994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이 위성은 전자식 광학카메라와 해양관측용 저해상도카메라가 달려 있었다. 이번에 발사될 아리랑 3A호는 아리랑 시리즈의 다섯 번째 위성이다. 2012년 발사한 아리랑 3호와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3A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기도 큰 ... ...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수상자로 함시현 숙명여대 화학과 교수(아래 사진 왼쪽)와 임혜숙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가운데), 유향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명예연구원(오른쪽)이 선정됐다. 이학 부문 수상자인 함 교수는 치매나 암, 광우병 등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응집 현상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공학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