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스페셜
"
지구
"(으)로 총 1,965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스롭그루먼 '견인 위성' 발사 성공, 인공위성 AS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정지궤도 통신위성 ‘인텔샛 901’의 수명을 늘려주는 것이다. 고도 3만 6000㎞의
지구
정지궤도를 돌고 있는 인텔샛 901은 위성 설계수명이 13년으로 설계수명을 5년이나 넘겼으나 아직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연료가 거의 고갈돼 제 궤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다. MEV-1은 견인차처럼 위성을 끌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중심에
지구
가 있고 달이 주위를 회전하고 있다. 그 바깥에 태양이 행성을 거느리고
지구
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다. 브라헤의 유족 및 제자들과 자료의 소유권을 놓고 분쟁을 치르기도 했었다. 브라헤의 자료를 온전히 넘겨받은 뒤 케플러는 그 데이터가 무엇을 뜻하는지 밝혀내기 위해 총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올가을 태풍 한반도 미래 기후 맛보기
2019.10.15
부산항의 타워크레인이 줄줄이 쓰러진 모습이 떠오른다) 그런 빈도도 잦아질 것이다.
지구
온난화 추세를 뒤엎기는커녕 가속화시키지만 않아도 다행이라는 게 현실임을 받아들인다면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현명한 대응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IPCC의 특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있으리라 생각되는 행성도 있다. 이 놀라운 다양성 속에는 태양과 비슷한 별을 공전하는
지구
를 닮은 행성도 있고 앞으로 더 많이 발견될 것이다. 현재로서는 외계행성에 생태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기술이 없지만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외계행성의 생명 역시 본격적인 관측의 영역으로 들어올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그렇게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것이다. 또한 리튬은 전위 (만들 수 있는 전압의 정도)가
지구
상에서 존재하는 물질 중에 거의 제일 낮다. 학창시절에 외웠던 ‘칼카나마알아철니주납수구수은백금’의 제일 앞의 칼륨보다도 0.1V 정도 더 낮은 전위를 갖는다. 그래서 리튬을 음극으로 구성하면 ... ...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왔는지 연구하는 천문학 분야다. 앨버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 이론을 설명하고,
지구
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에 대한 관측이 가능해지면서 물리우주론은 점점 발전해왔다. 물리우주론 전, 천문학자들은 우주 팽창 아이디어 제시 빅뱅이론에 따르면 지금으로부터 약 140억 년 전 최초의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이 원장은 "행성이 항성 주변을 돌면 항성도 조금씩 도는데 이런 움직임을 보일 때
지구
에서 보이는 파장의 차이를 감지해 행성의 존재 여부를 찾는다"며 "정확히는 행성을 찾는다보다는 행성을 지닌 항성을 찾는 건데, 질량 계산이 매우 정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교수 .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의 진화와 거대한 우주에서 우리
지구
의 위치에 대한 이해를 넓힌 천문 물리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와 미셸 마요르∙디디에 쿠엘로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 ...
노벨물리학상에 빅뱅이론 뒷받침한 이론가·외계행성 발견한 과학자들(종합)
2019.10.08
게 핵심이었는데 실제로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해내고 태양계 외에 외계에도 항성 주변에
지구
와 유사한 행성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최준영 부산과학관 선임연구원은 “1995년 첫 외계행성 발견을 발표했을 때 이전에도 외계행성이 발견되지 않았나 하는 논란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더 아늑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일상생활에서 관찰되는 사소한 변덕까지 수십 억 년
지구
자전의 역사에 맞춰 진화한 생체시계의 입김이 작용한 결과라면 우리 삶에서 자유의지가 하는 일은 정말 얼마 되지 않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