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700건 검색되었습니다.
美-日에 이어 세계 3번째 ‘꿈의 빛’ 밝혔다
2016.06.30
기본 성능을 검증한 결과 모든 장치가 성공적으로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공식
확인
됐다. 배태민 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내년 초면 연구자들이 곧바로 4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이용한 연구에 돌입할 수 있을 것”이라며 “획기적인 신약개발, 신물질·신소재 분석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등 ... ...
우리 개는 배고픈 나에게 음식을 나눠줄까?
2016.06.30
주는 개가 끈을 당기는 것의 의미를 알고 그러한 친사회적 행동을 한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되었습니다. ▼ University of Veterinary Medicine Vienna 제공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 ...
영화 ‘곡성’과 ‘브렉시트’에 투영된 인간 심리는?
2016.06.29
보니 다른 편 사람의 얼굴을 평가할 때는 감정을 공감하는 뇌의 영역이 비활성화된 것을
확인
했습니다. 특히 자신의 그룹에 대한 정체성을 높을수록 다른 그룹에 대한 인식의 왜곡이 더욱 심하게 발생했습니다. 나아가 다른 그룹에 대한 공격적인 성향으로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타자에 대한 비 ... ...
공포의 ‘지카 바이러스’ 백신 언제 나오나
2016.06.29
경우 2회 접종 시 지카 바이러스 예방에 필요한 면역 반응이 유도되는 것으로
확인
됐다. 지카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첫 임상시험인 이번 시험은 미국 임상시험센터에서 40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바이러스 전문가들 사이에선 지카바이러스 백신이 상용화 되려면 ... ...
여름철 땀 냄새 피하는 방법
2016.06.29
된다고 합니다. 땀 분비를 억제하는 데오드란트 제품도 효과가 있으니 사용법을 잘
확인
하고 쓰면 좋습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제품을 고를 때 주의할 점은 ‘땀 억제제’와 ‘데오드란트’는 다른 제품이니 반드시 구분해서 선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땀 억제제는 염화알루미늄 성분이 땀구멍을 ... ...
그래핀의 재발견, 미세 전류제어 ‘성공’
2016.06.28
그 결과 전자가 주위로 산란되는 일 없이 좁은 경로를 통해서만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이 교수는 “전압을 바꿔 주는 것만으로 그래핀의 고유한 전도특성을 유지하면서 전류의 흐름과 방향을 미세제어할 수 있게 됐다” 면서 “그래핀을 이용한 정밀소자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이 ... ...
수은 90% 제거에 재활용까지 되는 흡착제 개발
2016.06.28
고농도(50~250ppm)의 수은 오염수에 넣었더니 1시간 만에 90% 이상의 수은이 제거되는 것이
확인
됐다. 기존 흡착제는 수은 제거에 10시간 이상 걸렸다. 또 기존 제품은 산성 상태의 오염수에는 사용할 수 없었는데, 새 흡착제는 이런 단점도 극복했다. 사용한 흡착제는 간단한 화학처리 후 5회가량 ... ...
주식·집값 99% 정확히 예측하는 AI 시스템 개발
2016.06.28
개발한 기존 AI 시스템보다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차이(오차)가 40~60%가량 적은 것으로
확인
됐다. 이 시스템이 2004~2013년 미국 6대 도시의 집값을 학습한 뒤 예측한 이후 13개월 동안의 집값은 기존보다 오차가 60.1% 줄어 실제 집값의 99% 수준이었다. 최 교수는 “금융 분야는 물론이고 주요 부품의 ... ...
술에 비친 그림자만 보면 알코올 도수 안다?
2016.06.28
액체 샘플의 굴절률이 증가함에 따라 그림자의 너비가 감소한다. 그림자의 크기와 액체 샘플의 굴절률 간의 관계를 알고 있다면, 미지의 액체 샘플의 굴절률을 예측할 수 있다. - 포항공대 제공 수박 당도는 물론이고 폭탄주 도수를 직접 맛보지 않고도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동 ... ...
엄마 곰이 사람 사는 곳까지 내려온 슬픈 이유
2016.06.28
곳에 머물렀던 반면, 실패한 어미 불곰의 경우, 인가에서 1,210m 떨어진 곳에 있었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공동저자인 노르웨이생명과학대학교의 샘 스테야르트는 “번식기가 지나고 나면 새끼와 함께 어미 불곰은 그들의 생활방식을 변경한다”고 밝혔는데요. 바로 지정된 ... ...
이전
1486
1487
1488
1489
1490
1491
1492
1493
1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