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독일유학일기] 동호회, 드라마, 쇼핑 독일어 노출 늘리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어려움을 느끼고 좌절해 대학 문턱을 바로 앞에 두고 한국으로 돌아가는 사람도 많았다. 모든 언어가 그렇듯 문법과 어휘는 지름길이 없다. 영어단어 외우듯이 독일어 단어도 무조건 외워야 한다. 다만 독일어 단어는 영어와 다르게 시제에 따라 바뀌는 경우가 많고, 단어에 성별이 있어 그에 따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세기를 구분하지요.예를 들어, 미국에서 쓰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VI(6)이 되면 ‘모든 사람이 느끼고 무거운 가구가 움직이며, 굴뚝이 파손되는 등 가벼운 피해가 발생’하죠. 나라에 따라 ‘일본 기상청 진도’ 등 여러 진도 계급이 쓰이죠.그런데 진도는 관찰자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등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다. 제삼자 신뢰점 문제 개인 PC는 사용자가 모든 권한을 갖는다. 데이터와 코드 등 모든 정보 처리 과정이 개인 PC에서 이뤄진다. 반면, 클라우드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 필요한 권한이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에게 있다. 쉽게 말해 내 정보와 그 정보를 다룰 권한이 남에게 있는 것이다. 이것을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대립한 가운데 울며 겨자먹기로 내어준 기술 자료가 결국 외부로 유출된 것이다. 이 모든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은 3차 발사에 성공하는 것뿐이었다. 우리 연구팀은 다시 마음을 다잡고 3차 발사에 필요한 2단 엔진 점검부터 들어갔다. 2단 엔진에 들어가는 고체추진제는 시간이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통신망으로 전 세계가 연결된 모습을 배경으로 한다. 유통, 통신, 금융 등 세상 모든 일을 OZ의 세계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 단말기만으로 가볍게 처리한다. 그야말로 클라우드 세상이다. 오늘날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상상하는 클라우드 기T술은 어쩌면 이런 영화보다 더 기발하다. 클라우드로 ... ...
- [수학뉴스] 교육부,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 출시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각자 제공하던 자가진단 웹사이트를 하나로 통합하면서 앱으로 만든 겁니다. 모든 학생들은 등교 전 기침이나 인후통,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미각과 후각 상실 등 의심 증상이 있는지를 입력해야 합니다. 또 2~3일 내 확진자가 다녀간 곳에 방문했는지, 같이 사는 가족 중 자가격리자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수학자를 뽑으라면 많은 사람의 이름이 나오겠지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수학자는 모든 증명을 총괄했던 다니엘 고렌슈타인과 증명을 마무리한 마이클 에셔바허입니다. 한편 유한 단순군 분류 정리의 끝이 보이지 않던 1970년대 후반 무렵 영국 수학자 존 콘웨이를 필두로 한 수학자들은 유한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AKMU는 여기서 한층 더 나아간다. 이수현의 친오빠이자 다른 한 멤버인 이찬혁은 AKMU의 모든 노래를 직접 작사, 작곡, 편곡하는 천재이기 때문이다. ★뭐든 가능, AKMU★ 보통 한 가수의 앨범 소개를 보면 곡마다 작사, 작곡, 편곡자의 이름이 각각 표기돼 있다. 그런데 AKMU의 앨범 소개는 마치 ‘일일이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실제로 친화수는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에 등장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세상의 모든 것을 수로 따져 바라보던 박사는 주변 등장인물과 자신 사이에 친화수가 있어 인연이라고 생각하지요. 이번만큼은 코딩으로 문제를 푸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잠깐 소설 속 박사가 되어 주변에서 친화수를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되돌아와 확인한 헬리콥터 착륙지의 인공위성 영상 때문이다. 헬리콥터에서 내려 모든 연구원이 발을 디딘 착륙지에는 상처처럼 검은 줄이 뚜렷이 새겨져 있었다. 눈밭 아래 숨어 있는 ‘히든 크레바스(Hidden Crevasse)’였다. 만약 히든 크레바스에 빠지기라도 했다면…. 먹구름이 우리를 살린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