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맥스웰은 다소 기이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장’을 기술하는
바람
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지는 못했다. 그는 공간이 가상적인 구형(球形)의 ‘셀’로 가득 차 있다고 가정한 뒤 이 셀의 회전으로 장을 설명하고 전류는 셀과 접촉해 움직이는 입자라고 설명했다.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가장 가까운 만큼 혹시 모를 사고의 영향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방사성 물질이
바람
을 타고 우리나라까지 확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가장 대표적이다. 다른 나라에서도 일본에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어떻게 확산될지에 관심을 기울이며, 저마다 확산 경로를 예측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주요 ... ...
존 밀너, 2011년 아벨상을 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954년에 석사학위를 건너뛰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석사학위를 받지 않고 박사학위를 받는
바람
에 밀너의 학력을 석사라고 잘못 표기한 사례가 더러 있다. 밀너는 박사학위를 받은 뒤에도 계속해서 프린스턴대에서 일했으며 1960년 30세가 되던 해 이 대학 교수가 됐다. 내쉬를 제치고 필즈상 수상196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보완해가는 방법이다. 아파트가 오래돼 수도관에서 녹물이 나오고 창문에 틈이 생겨 찬
바람
이 새어들 때 수도관이나창문을 조금씩 수리하며 사는 방법과 비슷하다. 다른 하나는 완전히 새롭게 바꾸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앞으로 나타날 문제를 대비할 수 있는 새로운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2700m2로 이어도나 가거초 기지보다 크다. 기능적인 차이는 거의 없지만 수심이 깊고
바람
과 파랑이 세 몸집이 커졌다. 기지 안에는 40종의 최첨단 관측 장비가 설치된다. 모든 장비는 위성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조작하고 관측기록과 영상은 위성을 통해 실시간으로 연구소와 기상청으로 전송되기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보급대수가 1000만 대 가까이 되면서 제2의 벤처
바람
이 불고 있다. 성공 사례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지만 벤처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하지만 명문대 프리미엄을 버리고 도전에 나선 이들이 있다. 바로 서울대 벤처동아리인 ‘학생벤처네트워크’. 이들은 최근 미국 MIT와 함께 ‘MIT ... ...
성격의 근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투사한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계속 외도를 한다고 의심하는 사람은 사실은 자기가
바람
피우고 싶은 것이다. 이를 실천하지 못하자 자신의 욕망을 은폐하기 위해 배우자에게 뒤집어씌운다.문제에 대해 어린아이처럼 ‘퇴행’하는 사람도 있다. 심한 좌절에 부딪친 사람은 현재보다 훨씬 유치한 과거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방사성 물질이 기류를 타고 일본 남쪽으로 내려간 뒤, 다시 한반도 쪽으로 북상하는
바람
에 실려 날아와 제주도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한반도 전역을 덮는다는 국내외 기상기관의 예측이 있었기 때문이다.실제 제주도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에서 방사성 세슘이 일본 원전 사고 이후 최고 농도로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7월에 이례적으로 폭설이 내려 기후변화의 증거를 보여주기도 했다). 습기 없이 오직
바람
에 의한 풍화 작용만 일어나기 때문에 아타카마의 풍경은 흡사 달의 표면과 비슷하다. 그래서 이름도 ‘달의 계곡’이다. 잘게 부서진 모래 입자는 곱지만 뾰족해서 디디기가 무척 힘들었다. 햇빛을 받아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깎아내더군요. 미국, 싱가폴 등 해외 로봇과학자들이 휴보를 10여 대나 사 가겠다고 하는
바람
에 이 기계로 부품을 깎는 직원도 요즘 부쩍 바빠진 것 같았습니다.휴보센터는 원래 KAIST 기계공학과 기계제어연구실(MC Lab)에서 출발했습니다. 말 그대로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게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