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병을 스스로 이겨내는 능력을 키운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작년 10월 9일 창립됐고, 올해 1월 24일에는 개원의 1백여명이 모인 자연치료의
학회
가 만들어졌다. 현재까지 몇차례에 걸친 학술세미나를 통해 활발하게 정보를 교환하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환자의 입장에서 볼 때 최상의 치료책은 고통을 느끼지 않으면서 몸이 낫는 것이다. 몸에 ‘칼을 대지 ... ...
② 자연요법7: 향기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인간의 후각세포는 ‘두뇌의 작은 가지’라고 불릴만큼 반응속도가 빠르며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예를 들어 향긋한 냄새를 맡으면 식욕이 자극돼 침이 입에 고이는 것이나, 특정한 냄새가 과거의 한순간이나 그리운 사람을 연상시키는 것은 향기의 입자가 후각세포를 자극해 곧바로 뇌로 전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설명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창출’을 위해 결성된 우리나라의 ‘한국정신과학
학회
’는 그 좋은 보기가 될 것이다.그러나 단편적 과학지식 조차 없는 상태에서 이같은 분야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연구자들의 순수한 의도를 호도하며, 날조된 유사 현상을 양산해낼 가능성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스프링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화학자들은 그들이 이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단백질 스프링을 만들었다고 ‘미국화학
학회
지’(vol119, p.2313)에 보고했다.이 인공 스프링의 크기는 압축했을 때 1.11nm (10-9m), 늘렸을 때는 1.41nm이다. “세상에서 가장 작으면서도 구조적으로 특성화된 스프링”이라고 인스브룩대학의 크래틀러박사는 ... ...
학회
에서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날카로운 질문에 밀리지 않으면서 나름대로의 주장을 전개하기도 했다.네시가 넘자
학회
도 거의 파장 분위기에 접어들었다. 포스터를 보러 오는 사람도 줄어들어서 포스터를 붙인 사람들끼리 잡담하는 시간이 되어 갔다. 영수도 짬이 생길 때마다 미영과 대화를 나누곤 했다."역시 중요한 질문은 ... ...
화석수집열풍 지구비밀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감상의 대상 이전에 지구의 비밀을 푸는 열쇠란 것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국제고고
학회
가 각국 정부에 화석 거래를 중지시키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에 대해 미국의 화석 중개인 모임인 고고학 공급자협회(AAPS)가 자구책으로 제정한 윤리강령은 이 점에서 한 번쯤 눈여겨볼만 하다.“우리는 ... ...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인권 회복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1974년12월 미국 정신병
학회
는 공식적으로 동성애를 정신질환의 목록에서 삭제했다. 가톨릭 이후 서방문화에서 동성애자들의 인권을 부당하게 유린해온 쇠사슬이 끊기는 순간이었다.정신병의 굴레에서 벗어난 동성애자들은 본격적인 커밍 ... ...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메달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미타그레플러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스웨덴 최고의 수학자다. 그는 왕성한
학회
활동으로 스웨덴은 물론 유럽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그는 코발레프스카야라는 유명한 러시아 출신의 여성 수학자를 길러냈으며, 지금의 스톡홀름대학으로 발전한 스톡홀름 호그스콜라(Stockholm's Hogskola)의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정확하게 듣기 위해 대한지질
학회
에 문의했다. 서울대 지질학과 최덕근교수는 "지질
학회
에선 누가 먼저 발견했는지에 대해 공식입장을 밝힐 수 없다"면서 개인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발견시점보다는 발표 시점이 중요하다고 본다. 만약 발표시점을 무시한다면 언제든지 발견 시점을 앞당겨 뒤늦게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호로비츠의 주도로 추진됐다. 세이건과 호로비츠는 세계에서 가장 큰 천문단체인 행성
학회
의 후원을 받아 7년 동안 지속적으로 하늘을 탐색했다.파장이 21cm인 중성수소가 내는 전파를 주로 추적했던 이 프로젝트에서는 60조회에 걸쳐 반복탐사한 결과 37군데에서 미심쩍은 전파신호를 발견했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