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뉴스
"
물체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시의 비밀, 뇌에 있었네
2015.11.30
오히려 각도가 크게 차이 날 때에는 정확히 맞추기도 했다. 주변시로는 인접한 두
물체
사이의 차이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 실험 결과를 컴퓨터 모델로 분석해 인간이 주변시를 이용해 사물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밝혀냈다. 시야가 복잡해질수록 ... ...
달팽이 껍질 위에 동그랗고 까만 저건, 진짜 ‘눈’?
2015.11.22
㎚·10억 분의 1m) 크기의
물체
부터 이보다 큰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수준의
물체
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여기서 얻은 정보를 3차원(3D) 이미지로 얻을 수는 없었다. 연구팀은 기존의 SAXS 방법에 위상학 정보를 이용한 모델을 만들었고, 이를 적용한 결과 뼈의 ... ...
[2016 수능 답안 논란] 물리I, 정지에너지가 뭐길래
2015.11.17
유명한 공식인 E=mc²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지해있는
물체
의 질량을 m0라고 한다면
물체
의 정지 에너지는 E0=m0c² 라고 나타낸다. 6번 문항의 ‘㈂ B가 측정한 양성자의 정지에너지는 0이다’는 옳지 않으므로 문제 자체의 오류는 없는 셈이다. (ㄷ)의 역시 정답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 ...
[2016학년도 대입 수능]다문화-최저시급 등 최신시사 반영 출제
동아일보
l
2015.11.13
용어가 많이 나와 수험생들을 당황하게 했다. 인문계가 치르는 국어 B형에서 낙하
물체
의 종단 속도를 소재로 한 지문에 중력, 항력 등의 물리 개념이 등장하는가 하면 자연계가 치르는 국어 A형에는 고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라는 용어가 나왔다. 라디오 대담을 ... ...
1㎠ 전기 공급하는 데 단돈 1달러, ‘나노발전기’ 개발
2015.11.04
김동성 포스텍 교수 - 포스텍 제공 서로 다른
물체
사이의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나노발전기를 저비용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김동성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나노입자를 도장 찍듯 찍어내는 ‘임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마찰전기를 이용한 나노발전기를 1㎠ 당 1달러(약 113 ... ...
초등학생도 다룰 수 있는 3D 프린터 SW 나왔다
2015.11.04
GUI)로 구성돼 있다. 화면 속에서 스크롤바를 올리고 내리는 조작만으로 원하는 모습의
물체
를 제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인터넷 등에 등록된 도면을 내려받아 출력 하는 수준이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과 함께 새로운 ‘3D 프린팅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3D ... ...
스마트폰보다 음성 인식 잘 하는 인공전자피부
2015.11.01
울산과학기술원(UNIST)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교수. - UNIST 제공 손가락의 지문은
물체
를 잡을 때 미끄럼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미세한 질감을 느끼게 해 준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손가락의 피부 구조를 모사해 인공전자피부를 개발했다. 고현협 울산과학기술원(UNIST)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교수와 ... ...
이것이 진정한 초능력! 소리로
물체
움직였다
2015.10.28
인체 조직에서 다양한
물체
를 들어올리는 데 쓰일 수 있다”며 “큰
물체
나 매우 작은
물체
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사회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이 뜬다
2015.10.23
과학기술상은 론 페드키우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수학 박사인 그는
물체
가 부서지는 모습을 실제처럼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피스뱀 파괴 시스템(PhysBAM Destruction System)’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기법은 영화 ‘터미네이터’ 등에 활용됐다. 페드키우 교수는 200 ... ...
눈 혹사 이대로면 2050년엔 ‘눈먼 자들의 지구’
2015.10.08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회의에서 밝혔다. 고도근시는 가까이 있는
물체
에 초점이 잘 맞춰지지 않아 상이 흐릿하게 보이는 근시가 더 극심해진 상태를 말한다. ‘병적 근시’라고도 불리는 만큼 이보다 더 심한 ‘초고도근시’를 거치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