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기
식기
밥그릇
주발
공기
저장소
선박
d라이브러리
"
그릇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바로 아래에 1007m 길이의 신곡 수중보를 지었다. 두 개의 수중보에 막힌 한강은 마치 물
그릇
과 같은 구조가 돼 물이 항상 최소 2.5m 이상의 깊이로 가득 차 있게 됐고, 300t급 유람선이 떠다닐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한강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모래톱이 가득했고 갈수기에는 바닥도 일부 드러나는 ... ...
아찔아찔, 거울 나라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섭섭박사님이 갑자기 동시를 지으시지 뭐야?“방울방울 눈물방울 볼록볼록, 오목한
그릇
에 모으니 아름다워라~!”볼록? 오목? 그렇다면 이번 관문은 혹시?관문 통과!이번 관문의 비밀은 바로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처음 내가 본 거울은 볼록 거울로, 빛이 퍼지게 반사되기 때문에 내 얼굴이 퍼져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북쪽으로 뉘고 가슴에 사기 밥
그릇
을 올려놓는 풍습이 있었다는 것. 지금도 가슴에 사기
그릇
이 얹혀 있는 중공군 유골이 종종 발견되곤 한다.참호가 파여 있는 방향에 따라 아군과 적군을 구별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뺏고 빼앗기는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진 탓에 참호를 판 비탈 방향을 보면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음식을 많이 해 먹었다. 죽재 속을 가로지르는 막이 있는 마디의 밑 부분을 자르면
그릇
이나 물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안에 밥을 넣고 찌거나 술을 담그면 대나무 특유의 향이 배면서 싱그러운 녹색을 띤다. 대나무에 넣고 구운 소금은 죽염이라고 해서 건강식으로 많이 활용된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5
담긴 팥죽은 꿀처럼 달콤했다. 지오는 게 눈 감추듯 팥죽 한 보시기를 먹어치웠다.“한
그릇
더 먹으련?”팥죽을 반도 비우지 못한 사내가 다정하게 물었다. 지오는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그런데 아저씨는 누구세요?” 팥죽을 얻어먹더라도 누군지는 알고 먹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내 이름을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05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에너지원이다. 문제는 이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담을
그릇
인 ‘태양전지’다. 생산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물질과 에너지가 필요한 데다, 카드뮴 같은 독성물질을 제조과정에 사용한다는 점에서 ‘청정에너지’라는 이미지에 손상을 입었다. 태양광 발전소는 가동 후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004
시작한다.예를 들어 어머니들이 설거지하는 모습을 보면서 ‘설거지가 필요 없는
그릇
’을, 신발주머니에 모래가 남는 모습을 보면서 ‘모래가 쌓이지 않는 신발주머니’를 생각할 수 있다. 또 비빔밥을 먹을 때 ‘고추장을 숟가락에 남기지 않는 방법’을, 화장실에 앉아서는 ‘화장지가 적당한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1
조사 결과 역고드름이 가장 잘 만들어지는 온도는 영하 7℃였다. 이 온도에서는 얼음
그릇
의 중간쯤에서 역고드름이 솟아올랐다. 반면 온도가 더 높거나 낮으면 역고드름이 잘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리브레츠트 교수팀은 이유를 알아내지는 못했다.다만 온도가 그보다 내려가면 역고드름이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01
교수는 빛을 마음대로 요리하고 담아둘 수 있는 ‘특별한
그릇
’을 만들고 있다. 이
그릇
의 이름은 광결정(photonic crystal).양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을 100% 반사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에 공간을 만들면 빛이 밖으로 새나가지 않게 가둘 수도 있다. 또 길을 만들면 빛이 그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01
따라 비가 많이 스며들기도 적게 스며들기도 했거든요. 문종은 구리
그릇
을 만들어 그
그릇
에 고인 물의 높이로 비가 온 양을 재자고 제안했습니다.측우기에 사용했던 자는 측우기를 만들고 1년 뒤, 세종실록에 측우기란 말이 처음으로 등장했을 때 알려졌어요. 그 길이를 1자 5치, 지름 7치로 한다고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