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시
심야
밤중
한밤중
한밤
미드나이트
자방
d라이브러리
"
자정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12
균형있게 유지하기 위하여 지구의 생물체는 계속 노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체의
자정
현상을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이미 상황은 조정불능의 사태로 나아가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으며, 마틴의 아이디어를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해결책이 시도되고 있다.땅을 기본으로 하는 해결책은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12
바로 옆. 동쪽하늘에서 어둠이 깔리면 떠오르기 시작하여 유성우의 절정을 이룰
자정
때쯤이면 머리위에 위치하게 된다.이때 떨어지는 별똥의 밝기는 꽤 밝지만 이 중 약 3%정도의 유성만이 하늘에 흔적을 남긴다. 특징적인 것은 이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혜성으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니라, 지구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11
태어난다. 그 양식(물질)에 따라 정해진 경로를 밟아가는 것이 별의 일생이다. 요즘밤
자정
쯤 되면 오리온별자리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플람스티드의 성도에서 보면(그림1) 오리온 사냥꾼이 오른쪽 손에 칼을 높이 들고 있는 어깨에 붉은색의 베텔규스가 있고 왼쪽 발등에는 청색의 리겔이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10
숨을 콱콱 막히게 할 뿐이다. 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물질들이 도시 하늘을 뒤덮고 있고,
자정
이 넘어도 꺼질줄 모르는 불빛(인공조명)들이 먼지층에 되반사돼 우리의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를 광공해(光公害) 현상이라 부른다.서울의 밤하늘은 얼마나 오염됐을까. 서울에서 비교적 가까운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09
물이 지하층까지 도달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대부분의 오염원은 자연의
자정
작용에 의해 정화돼 양질의 물이 흐르고 있다. 또한 앞에서 이야기한 맛있는 물의 조건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지하수의 개발에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므로 이를 통해 지하수를 개발,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08
나타나게 된다.별똥은 초저녁보다는
자정
이 지난 다음 많이 떨어지고 별똥의 속도도
자정
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한다. 이유는 초저녁에는 지구가 성간물질로 부터 도망가는 방향으로 공전하고, 새벽녘에는 성간물질들을 향해 공전하기 때문이다. 즉 초저녁에 떨어지는 유성은 성간물질들중 지구 ... ...
지구과학 -B.C.2천년전 고대 이집트서 처음구분
과학동아
l
199305
0시, 곧
자정
이 되는 것이다. 그러면 부에노스아이레스는 5월 6일
자정
인가? 또는 5월 5일
자정
인가?이제 서울에서 목요일 오전 9시에 다음과 같은 세계 도시에 전화로 시각을 물었더니 그 답은 (표2)와 같았다.(표2)에 나타난 도시들은 세계 여러 나라에 고루 분포돼 있다. 그런데 표에는 수요일 오전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03
한 몫을 하고 있다.그런데 인간의 과도한 개발로 인해 푸른 행성 지구는 조금씩
자정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를 방지하고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바로 '지구를 지키는 일'이다. 대전 엑스포의 쌍용 지구관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소명에 부응하는 주세를 구현하기 위해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01
인간은 매우 미미한 존재이며 인간이 저지른 환경오염은 가이아가 지금까지 보여준
자정
능력에 비하면 매우 가벼운 병이라는 것이다. 러브록의 주장에 의하면 오존층의 파괴에 의한 자외선의 증가나 심지어 핵발전 사고시 유출될 다량의 방사능도 가이아에게 그렇게 치명적이지는 않다는 것이다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08
강이 죽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더 컸던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라인강의
자정
작용은 생각했던 것보다 놀라웠다. 라인강 오염사건은 체르노빌 사고가 반핵운동에 박차를 가하게 했듯이, 요즈음 유럽의 환경운동을 한 발짝 더 진보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