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강의"(으)로 총 1,2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포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24화. 운명처럼 만난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교수님이 리차드 도킨스 교수의 뒤를 이어 그 자리에 계셨어요. 이 직책을 맡으면 대학교 강의 대신 대중강연을 하시며 본인의 연구를 이어갑니다. 그 덕분에 제가 있던 뉴질랜드로도 강연을 오실 수 있었던 거지요. 그러니 대학 생활 때는 교수님의 수업을 한 번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대신 ... ...
- [특집] 헬러윈에 나타난 악마의 정체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핼러윈에만 모습을 볼 수 있다잖아. 진짜인지 알아보자!”마녀 분장을 한 예서가 앞서가며 말했어요. 이나와 연우는 두리번거리며 따라갔죠. 세 친구는 언덕 위의 집으로 향하는 중이었어요. 집안에 갇혀 있던 악마가 핼러윈에만 밖으로 나와 모습을 드러낸다는 바로 그 집이었지요. 문 앞에 다 ... ...
- [인터뷰] 수학을 사랑한 어린이, 인기 금융 유튜버가 되다! 최민 크레이에이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것’이 공부의 다른 순기능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계속해서 제 지식을 영상, 책, 강의, 강연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 형태로 전달하고 싶어요!” 수학을 사랑했던 어린이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좋아하는 일’을 찾아 멋진 금융 유튜버로 성장했어요. 최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경험을 ... ...
- [탐험대학] 빙하탐험대 극지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할 일이 무궁무진하다. 여러분들이 미스터리를 풀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의를 들은 미생물 팀 이지현 대원(평내고 2)은 “연구원님의 설명을 듣고 생명력이 강한 지의류를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약간의 온기도, 한 톨의 먼지도 허용치 않는 극지 연구 ... ...
-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다), 시험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의견보다 교수의 의견을 선택한다고 답했다. 강의를 비판적이나 창의적으로 본 학생보다 수용적인 태도로 교수의 생각을 흡수한 학생이 더 좋은 성적을 얻은 것이다. 이른바 ‘한국형 천재’가 만들어지는 수순이었다.놀랍지만 한편으로 당연한 결과였다.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어요. 더 잘 알고 싶어 신청했는데 뽑히게 돼서 정말 기뻤어요. 강의 중에 횃불을 만들었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저는 저만의 방법으로 손잡이 부분도 만들고 횃불의 끝부분엔 불 효과도 넣었어요. 그랬더니 진짜 같은 횃불이 완성되더라고요. 강연 이후에도 혼자서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인천광역시 소속 과학 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직무연수에서는 실시간 비대면 강의를 통해 기후변화,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환기하며 해양관측과 해양학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이후, 실습을 통해 ODV 활용법을 배워보는 등 교사들이 먼저 해양데이터 리터러시를 체험해 보는 시간도 가졌다 ... ...
- 탄소중립 성패 따라 세계 질서 재편될 것… 혁신 에너지 기술로 기회 삼아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기존 대학의 교수들은 이런 요구에 난색을 표할 것이다. 교수 입장에서는 기존보다 강의에 두세 배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연구와 달리 교육은 정량지표가 별로 마련돼 있지 않아 정당한 평가를 받기 어렵다. 켄텍은 교수가 교육과 연구 중 어느 쪽에 주력할지 스스로 정할 수 있다. 100명의 교수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강이 인간의 영향으로 수년 만에 변하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물론 굽이치고 흐르는 강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산이 강을 넘지 못하듯,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합니다. 지금 우리의 활동에도 한강은 물줄기를 바꿔 다시 흐르고, 여전히 반짝이는 태양의 모서리 한쪽을 간직하고 있을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해수면 상승과 시추에 의한 침강 등으로 1년에 약 44km2씩 토지가 유실되고 있다”며 “강의 회복력이 충분히 높다면 강을 따라 내려오는 퇴적물이 유실된 부분을 메울 수 있겠지만, 미시시피강은 산업이 발전하며 댐이 여러 개 생겼고, 그 결과 퇴적물이 하류로 내려오지 못해 유실된 지역을 회복하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