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부
외면
겉모양
표면
바깥
겉
외양
d라이브러리
"
겉모습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결과를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까. 어떻게 보면 억지스럽지만 한편으로는
겉모습
은 다를지언정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행태가 눈에 띄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치환공격(displacement aggression)이다.치환공격이란 자기보다 서열이 높은 수컷에게 공격당한 수컷이 서열이 낮은 수컷에게 화풀이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달린 애벌레를 본능적으로 피하는 습관이 생겼다.털의 강력한 독성 때문인지 독나방의
겉모습
을 닮으려는 무리가 있다. 저녁나방아과와 버짐나방아과인데 언뜻 보면 영락없는 독나방 애벌레다. 파레리아과에 속하는 종들도 털로 몸을 치장한다. 독성은 없는 털이지만 천적의 눈을 속일수 있는 좋은 ... ...
인간관계에서 잡담이 차지하는 역할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은 시간문제다.남의 상처에 쉽게 흥분하고 몰두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기세등등한
겉모습
과는 달리 내면에 두려움과 불안, 적개심과 열등감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부정적인 정신기제를 잊으려고 더욱 필사적으로 남의 험담에 매달린다. 남의 험담에 열을 올리는 순간만큼은 자신의 ... ...
[수학영재캠프] 가짜 금화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가짜 금화는 진짜 금화보다 조금 가볍지만, 손으로 들어봐서는 잘 알 수 없는 정도이고
겉모습
이 똑같아서 양팔 저울을 이용해야 한다. 양팔 저울을 2번 사용하여 가짜 금화를 찾아내어라.(2) 금화가 9개가 아니라 10개였다면 양팔 저울을 2번만 사용해서 항상 가짜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음을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부르는 것이 덜 복잡하다. 모든 종류의 애벌레를 다루기는 어렵고 특히 불완전변태는
겉모습
이 어른과 거의 같기 때문에 관찰만 잘 하면 누구의 애벌레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가 주로 연구해 온육상 곤충 중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나비목의 애벌레인 캐터필라를 분석하고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한 마을에 다다른 허풍 일행. 허풍은 주위를 두리번거린다.“이 근처라고 들었는데….
겉모습
은 조선 사람 같아 보이지만 말이 통하질 않으니 원!”그때 누군가가 허풍의 등을 두드린다.“자네 혹시 허풍이 아닌가?”“으허엉. 이 친구 정말 살아 있었구먼.”허풍은 눈물 콧물을 쏟으며 남자를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모를 사건이 그저 흘러가기만 할 것이다.그리고 이야기의 본질은 가져오지 않고
겉모습
만 가져왔다. 그린랜턴은 우연히 운이 나빠 거미에게 물렸거나 방사능 실험을 하다가 실수로 녹색괴물이 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반지는 자신의 의지로 주인을 선택하고, 그 조건은 ‘정신력’이다 ... ...
온화한 빛의 화가 베르메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도와 지구본, 천문도가 자주 등장한답니다. 하지만 그저 과학과 관련된 소품들의
겉모습
만 그린 것이 아니라, 과학을 이해하고 그림을 그렸어요.에서도 천문학자가 창문 옆에서 지구본을 보며 작업을 하고 있네요. 이 그림에선 빛의 효과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창문 옆에 책상을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밤하늘의 빛난 별을 자세히 볼 수 있는 망원경이라고 답변해 주셨어요.털이 나고 못생긴
겉모습
과 달리 먹어본 사람만이 그 속의 달콤한 맛을 아는 키위처럼,‘수학’도 그참맛을 아는 자만이 즐길 수 있다는 멋진 말과 함께요.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보는 것도 수학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좋은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똑같은 전분화능을 갖는 배아줄기세포와 비교했을 때 분화된 세포의
겉모습
은 비슷해 보여도 염색체의 구조나 발현된 유전자의 패턴이 다르다는 게 확인됐기 때문.[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여전히 체세포 시절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래의 체세포와 전혀 다른 계열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