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학"(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이유를 밝혔답니다. 이중 애쉬킨 박사는 ‘광학 집게’를 만든 공로로 상을 받았어요. 광학 집게는 말 그대로 빛으로 만든 집게예요. 레이저 빛을 이용해 세포나 분자, 원자 등 작은 물질을 잡을 수 있는 기술이지요. 1970년, 애쉬킨 박사는 레이저 빔을 쏘았을 때 빔의 초점 근처에 수 마이크로미터 ... ...
- [과학뉴스] 전세계 과학인의 축제, 2018 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만든 과학자에게 돌아갔어요. 미국 벨연구소 아서 애슈킨 전 연구원, 프랑스 초고속 광학과학센터 제라르 무루 연구원,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도나 스트클런드 교수가 주인공이지요.노벨화학상 수상자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프란시스 아놀드 교수, 미국 미주리대학교 조지 스미스 교수, 영국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윌리엄 몰리뉴’는 1688년 7월 7일, 철학자 존 로크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어요. 그 속엔 재미있는 질문이 있었지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한 사람이 있었어. 그는 정육면체와 구를 만져서 구별할 수 있었지. 정육면체는 8개의 뾰족한 꼭짓점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강한 천체. 빛을 비롯해 어떤 물체든 이곳에 흡수돼 버린다. (과학뉴스 참조)❸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처음으로 앞을 보게 된 시각장애인이 정육면체와 구를 구별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유명하다. (생각 실험실 참조)❹ 전쟁과 종교, 인종, 정치적인 의견을 이유로 출신국에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가리키지요.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발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빛을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보다 더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나온 뒤에야 비로소 바이러스를 관찰할 수 있었지요. 바이러스는 몸이 단백질 껍질과 그 안에 있는 유전물질로만 이루어져 스스로 살 수 없어요. 항상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델타II’ 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9년 7개월 23일 만이다. 케플러라는 이름은 광학망원경 연구와 천체물리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서 따왔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그간 지구에서 약 6500만km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궤도를 따라 372.5일 주기로 공전하며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색깔을 내게 하는 원천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선임연구원이 새의 깃털 구조를 광학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여 교수에게 보내면, 여 교수는 이를 토대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찾아내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새의 케라틴 구조는 짧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혀 다른 존재예요. 우선 바이러스의 크기는 세균의 1000배 정도로 작아서,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생명체인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에 있다는 점이에요. 바이러스는 막대나 공 모양의 매우 작은 단백질 막 안에 유전자가 담겨 있는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물리학상 수상 연구는 전반기에 방사선과 X선, 원자이론, 양자역학이 많았고, 후반기에는 광학, 우주 천문학, 소립자 이론이 우세했다. 시대가 바뀌어도 대부분 정통 물리학에 속한 연구 업적이 물리학상을 수상한 셈이다.반면 화학상은 전반기에는 유기화학과 물리화학이 주요 수상 분야였지만, 2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다.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해 한국광학회 학술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남창희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프리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KAIST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