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학"(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이유를 밝혔답니다. 이중 애쉬킨 박사는 ‘광학 집게’를 만든 공로로 상을 받았어요. 광학 집게는 말 그대로 빛으로 만든 집게예요. 레이저 빛을 이용해 세포나 분자, 원자 등 작은 물질을 잡을 수 있는 기술이지요. 1970년, 애쉬킨 박사는 레이저 빔을 쏘았을 때 빔의 초점 근처에 수 마이크로미터 ... ...
-
- [과학뉴스] 전세계 과학인의 축제, 2018 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만든 과학자에게 돌아갔어요. 미국 벨연구소 아서 애슈킨 전 연구원, 프랑스 초고속 광학과학센터 제라르 무루 연구원,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도나 스트클런드 교수가 주인공이지요.노벨화학상 수상자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프란시스 아놀드 교수, 미국 미주리대학교 조지 스미스 교수, 영국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강한 천체. 빛을 비롯해 어떤 물체든 이곳에 흡수돼 버린다. (과학뉴스 참조)❸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처음으로 앞을 보게 된 시각장애인이 정육면체와 구를 구별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유명하다. (생각 실험실 참조)❹ 전쟁과 종교, 인종, 정치적인 의견을 이유로 출신국에서 ...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윌리엄 몰리뉴’는 1688년 7월 7일, 철학자 존 로크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어요. 그 속엔 재미있는 질문이 있었지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한 사람이 있었어. 그는 정육면체와 구를 만져서 구별할 수 있었지. 정육면체는 8개의 뾰족한 꼭짓점이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가리키지요.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발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빛을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보다 더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나온 뒤에야 비로소 바이러스를 관찰할 수 있었지요. 바이러스는 몸이 단백질 껍질과 그 안에 있는 유전물질로만 이루어져 스스로 살 수 없어요. 항상 ...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혀 다른 존재예요. 우선 바이러스의 크기는 세균의 1000배 정도로 작아서,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생명체인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에 있다는 점이에요. 바이러스는 막대나 공 모양의 매우 작은 단백질 막 안에 유전자가 담겨 있는 ...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델타II’ 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9년 7개월 23일 만이다. 케플러라는 이름은 광학망원경 연구와 천체물리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서 따왔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그간 지구에서 약 6500만km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궤도를 따라 372.5일 주기로 공전하며 ...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색깔을 내게 하는 원천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선임연구원이 새의 깃털 구조를 광학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여 교수에게 보내면, 여 교수는 이를 토대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찾아내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새의 케라틴 구조는 짧은 ...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다.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해 한국광학회 학술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남창희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프리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KAIST ...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있다. 원하는 장소에서 입자를 떨어뜨리려면 레이저를 끄기만 하면 된다. 거의 모든 광학현미경에 장착할 수 있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입자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현미경이 미시세계를 보는 ‘창문’이라면, 광집게는 미시세계를 만져볼 수 있는 ‘손’인 셈이다. 1990년대 초에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