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프로그램을 다시 컴파일(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한 뒤 차근차근 다운로드를 해 시험했습니다. 하지만 이 세 번째 가설도 아니었습니다. 마치 운명의 장난처럼 수정을 하고 처음 그리고 두 번째 시험까지는 정상 작동하다가 세 번째 ... ...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월 2일 오전 11시, 부산대 기계관 건물에 10명의 과학동아 독자가 모였다. 과학동아와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주최한 IBS 기후물리 연구단 랩투어에 선정된 이들이었다. 서울, 세종, 대전, 대구, 부산 등 그야말로 전국 각지에서 모인 독자들을 악셀 팀머만 IBS 기후물리 연구단장이 반갑게 맞이했다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말씀에 막연히 공대에 가야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물리학과 연관이 있어 보이는 기계공학과와 전자공학과 중에서 고민하다가, 고등학교 물리에서 역학보다 전자기학 파트가 좀 더 재밌었다는 이유로 전자공학과를 택했다. 막상 전자공학과에서 공부해보니 물리학 원리를 토대로 한 응용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룩한 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은 수학 없이는 불가능했지요. 이런 면에서 수학은 지극히 기계적이고 실용적입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수학은 이성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아름답습니다. 독일 작곡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 그렇듯이 수학은 가장 단순한 개념들만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인간과 기계 혹은 인공 생명체 간의 사랑, 연애는 SF 장르에서 꽤 흔한 소재다. 하지만 그런 까닭에 작가의 구체적인 설정과 세계관의 색깔이 오히려 잘 드러날 수 있다. 이 작품 ‘오프’는 사람들 사이에 사랑이라는 감정이 직접 오가지 않게 된 미래를 보여준다. 현실보다 효율적으로 욕구를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튜링 테스트는 영국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 앨런 튜링이 1950년 고안한 것으로, 기계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면 인간과 동등하거나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의 지능을 가졌다는 의미예요. 덕분에 챗GPT 플러스는 복잡한 질문에도 척척 답변할 수 있지요. Q.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챗GPT에서 수학 검색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재료를 개발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재료를 연구하는 이들이 함께하고 있다. 재료와 기계, 설계 심지어는 디자인 분야까지 융합돼 힘이 전달되지 않거나 부품을 제조하는데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히 덜어 무게를 줄인다. 지금보다 더 가벼운 재료를 찾기 위해선 앞으로 더 많은 과학 분야가 협력과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학위를 받았어요. 지금 생각해도 그때의 교수님께 죄송하고 감사해요. 대학원을 마친 후 기계공학과 선배가 계신 스마트팩토리 컨설팅 프로젝트에 합류했어요. 고등학교, 학부, 대학원에서 경험한 조각들이 현장에서 퍼즐처럼 맞춰진다고 느꼈어요. 건물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공조 설비실엔 ... ...
- [숫자로 보는 뉴스] 원뿔, 모자, 호리병, 클로버~ 재료는 DNA?!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만들어줘요”라며 “이 기술을 발전시키면 DNA처럼 아주 작은 재료들로 아주 작은 기계나 로봇도 만들 수 있을 거예요”라고 말했어요. 용어 설명 유전★ 자손이 조상으로부터 체질, 성격, 질병 등을 물려받는 것을 말해요.nm(나노미터)★ 길이를 재는 단위 중 하나예요. 1m를 10억 개로 나눈 것 중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FDM 방식이 지금처럼 널리 쓰이게 된 데는 에이드리언 보이어 당시 영국 바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공이 컸습니다. 보이어 교수는 3D 프린터의 설계도와 조작 기술을 누구나 접근해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렙랩(RepRap) 프로젝트를 주도했습니다. 특히 2009년 FDM 기술의 특허가 만료되자, 3D 프린터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