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하학
기하광학
광학
휘하
예하
d라이브러리
"
기하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러한 격자 모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것이 현대 확률론의 주요 분야가 됐고, ‘확률
기하
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출현으로 이어졌습니다. 2000년대에 이 분야를 이끈 대표적인 수학자로 오데드 슈람, 벤델린 베르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교수, 그레고리 롤러 미국 시카고대학교 교수, ... ...
[킹앤유] 확률로 물리 현상을 밝히다! 벤델린 베르너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확률 이론을 결합해 규칙별 무작위 행보마다 가질
기하
학적 특성과 2차원 브라운 운동의
기하
학적 특성을 연구했어요. 베르너 교수의 이러한 연구는 물리학에서 관심있는 주제인 ‘두 개의 상이 맞닿아 있는 물질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Q. 2018년엔 2명의 수학자와 함께 리드의 추측의 확장판인 ‘로타의 추측’까지 해결하셨어요. A.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제 논문을 보고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가 먼저 이메일을 보내왔어요. 제가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추측도 해 ... ...
조합론 난제를 대수
기하
학 도구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계속 감소한다는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 후에도 허 교수는 대수
기하
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 ...
통계로 보는 필즈상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미국인입니다. [연구 분야] 수학에는 다양한 분야가 있어요. 지금껏 필즈상은 대수
기하
학과 정수론, 해석학을 연구하는 분들이 주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허준이 교수의 수상으로 조합론 분야에서 처음으로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습니다. [ICM 강연] 수상자 중 무려 60명이나 수상 전 ICM에서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것만 이야기할게요. 필즈상으로 삶이 많이 바뀔 거예요. 수학자들과 더 많이 이야
기하
게 되고, 출장도 많이 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서 기대됩니다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디오판토스
기하
학은 계수가 유리수인 다항방정식인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해를
기하
학을 이용해 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이후 메이저 교수는 이 분야에서 수많은 업적을 남깁니다.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메이저 교수님은 어떤 한 문제만 풀 수 있는 연구가 아니라 수학자들이 다른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자 잔카를로 로타가 리드 추측을 일반화해 제시한 문제다. 허준이 교수는 대수
기하
학의 ‘호지 이론’을 통해 로타 추측을 증명했다. ※오목로그란.로그-오목은 계수에 로그를 씌웠을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오목한 형태를 보이는 성질을 뜻한다. 로그-오목은 절댓값 단봉 패턴을 포함하는 더 ... ...
[논문탐독] 다양성과 혁신이 이끄는 도시의 진화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상호작용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통적인 도시 계획 방법이었던 이상적인
기하
학적 계획으로 만들어진 여러 규칙들을 깨는 데도 유용합니다.프랙탈 구조와 비슷한 대칭 구조는 과거 도시를 설계할 때 기준이 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상적인 도시 계획 방법에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조금 노력하면 몇 달 안에 풀겠다, 아니다’처럼 판단이 필요합니다. 수학자에게는 잘 포
기하
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재능이라고 생각해요. 어떤 종류의 문제들은 개인이 이해할 준비가 안 됐거나, 인류가 이해할 준비가 안 된 걸 수도 있어요. 그걸 붙잡고 있는 것은 생산적이지 않습니다. " 수학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