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질의
문제
의문
설문
의문문
심문
d라이브러리
"
물음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A를 여러 조각으로 나눠서 그 조각들을 B가 되도록 재조립하는 게 ‘항상’ 가능한가. 이
물음
은 삼차원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생각보다 간단히 해결됐다. 실은 필자도 이와 상당히 비슷한 문제를 수학경시대회 문제로 출제하고 싶어서 아래 문제를 만든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초신성 폭발과 어떻게 다를까. 초기 우주에서 은하는 어떻게 형성됐을까. 이런 수많은
물음
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과학자들은 끝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그런 노력의 결과물의 하나인, 초기 우주에 존재했을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형태의 초신성 폭발을 소개한다. ‘쌍불안정성 초신성 폭발’이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패턴이에요. 그리고 혼자가 아닙니다. 적어도 두 명 이상이에요.”네로 울프는 경찰의
물음
에 단호하게 대답한다.“피해자는 28세의 여자로 아스널FC의 구단 사무실 직원입니다.”“경감님, 피해자의 손에서 쪽지와 다잉메시지로 추정되는 혈흔이 발견됐습니다.”피해자의 오른손에는 쪽지가 있고,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모든 경우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는 모두 몇 번 해야 합니까?”라는
물음
에 “4번”이라고 답하는 학생이 있다. 나를 포함한 5명 중에서 나와 팔씨름을 하는 사람은 모두 4사람 이고 서로 한 번씩 경기를 하니까 자기 입장에서는 총 4번의 경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날 “아들이 우주비행사를 꿈꾼다”며 “어떻게 도와줘야 하느냐”는 한 학부모의
물음
에 이 같이 답한 이소연 박사는 “나도 어릴 때 꿈이 아주 여러 번 바뀌었다”며 “아이들의 상상력을 일단 두고 보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모의 진짜 용기는 넘어진 아이를 일으켜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찾을 확률도 높다. 그는 “우주에서 지구의 생명체만 유일한 생명체인가 라는
물음
은 천문학에서 오래된 주제였다”며 “이제 우리는 여기에 대해 답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SF 단편집 출간 지난 2월, 국내 유명 SF 작가 8명과 천문학자 4명이 소백산천문대에서 워크숍을 가졌다(자세한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실을 입증한 연구에 돌아간 수의학상도 한 번 웃고 지나가기에는 진지한 철학적
물음
을 담고 있다. 영국 뉴캐슬대 피터로린손 교수팀이 지난 3월 ‘앤스로주즈(anthrozoos)’라는 저널에 낸 논문에 나오는 내용으로 논문의 제목은 ‘목장에서 인간·동물 관계에 대한 경영자의 지각과 우유 생산량의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언어 자체가 다른 표현을 하게 하는가. 이런 궁금증이 언어와 사고의 관 계에 관한
물음
이다.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관한 주장들은 매우 다 양하다.미국의 언어학자인 노엄 촘스키는 언 어와 사고가 서로 독립적이라고 주장했고, 스위스의 동물행동학자인 장 피아제는 사고가 언 어를 선행한다고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응용수학과 1년). 그는 “곤충을 기르는 기술이 기아 해결에 도움이 되겠느냐”는
물음
에 이처럼 당찬 답변을 내놓았다.이매진컵은 2003년부터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개최하고 있으며 기아 해결, 자연 보호 등 공익적인 주제를 소화하는 SW를 개발한 팀을 뽑아 시상한다. 전 세계 124개국에서 30만 명이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우리가 됐는가. 우리는 왜, 그리고 어떻게 지금의 사회적 성향을 지니게 됐는가. 이런
물음
은 더 이상 철학에만 국한된 질문이 아니다. 다윈 이후 150년 지난 지금에 이르러 사회적 현상이나 인간의 행동을 진화론에 의거해 설명한다는 것이 이제는 더 이상 큰 소동을 일으키지 않는 것 같다.이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