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모
모직
양털
울타리
털
모직물
우리
d라이브러리
"
울
"(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치과에서 옮은 AIDS로 미국서 소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예를 들어 시술 중에 어디엔가 긁혀 그의 소독장갑이 찢어지고 피가 났다면 한두방
울
로도 환자가 AIDS에 감염될 가능성은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조사팀은 살아있을 당시 채취해 놓은 아서의 혈액을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다. 만약 아서의 혈액에 유난히 AIDS바이러스의 함유량이 크다면 소량으로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의한 것이므로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니다.(2) 답은 '잘 만하면 전부 피
울
수 있다'이다.아빠의 의견은 아프리카의 '부싯막대 방법'이다. 즉 마찰에 의해 나뭇가루가 생기고 그 마찰열로 불을 붙이는 방법이다. 엄마는 '타격법'을 이용한 것으로 조선조 말 보부상들이 흔히 사용했던 방법이다.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때문이다. 멀미약을 복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늘 부작용에 주의를 기
울
여야 한다. 아
울
러 정보의 어긋남을 가급적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신문 책 지도 등을 보지 말고 먼 곳의 경치를 보거나 아예 눈을 감고 있는 것이 좋다. 눈을 감고 있으면 적어도 뇌의 혼란은 일어나지 않는다. 시선도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산성비 보다 산성눈이 환경에 미치는 피해가 더 크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① 추운 겨
울
은 식물의 대사가 활발하지 못할 때이므로② 눈이 오랫동안 지표에 남아 녹아 없어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③ 이산화황 농축효과가 비보다 눈에서 더 크기 때문에④ 눈과 이산화황의 반응이 잘되기 ... ...
살아있는 과학퀴즈 정전기의 신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우주선의 방향을 1백80도 회전시킨다.④ 소행성 쪽으로 약간 방향을 바꾼다. ③ 건조한 겨
울
철 치마에 정전기가 생겨 자꾸 달라 붙는 것을 경험한 여학생들은 그 방지책으로 다리에 로션을 바른다고 한다. 어떤 원리로 정전기를 방지해 주는걸까?① 로션에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전하가 풍부하다 ... ...
PART Ⅳ 우
울
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생물학적 관점에서 내인성 우
울
증과 외부적환경변화에 의한 신경증적인 외인성우
울
증으로 구별된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아민가설 또는 수용체가설 등의 생물학적 접근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알츠하이머병/기억력 감퇴부터1907년 알츠하이머에 의해 처음 기술됐다. 노년기 및 초로기에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높은 온도에서 물방
울
은 철판에 닿자마자 수증기가 되어 날아가 버린다. 그러면 물방
울
이 여러조각으로 흩어지면서 떼구르르 구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3) ② 갈릴레이 온도계의 말을 전해 들은 파도바대학 의학교수 산토리오는 그 온도계로 체온도 측정했다. 게리케라는 독일사람도 큰 금속구와 ... ...
촛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는 것 중에서 양초만큼이나 과학의 다양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소재도 발견하기 어려
울
것이다. 앞에다 촛불을 켜고 온가족이 모여 같이 관찰하면서 양초의 세계로 들어가보자.문제1 양초는 고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양초가 타는 것을 관찰해 보면 고체 그대로 타는 것이 아니라 양초가 ... ...
진공의 세계를 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진공을 만들어 놓고 그것이 진공이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해 보았다. 그 속에 방
울
을 넣고 흔들어 보고 진공 속에서 물질이 타는지 살펴보기도 하고 그곳에서 동물이 살 수 있는지도 알아 보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만족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다음중 그 질문에 해당하지 ... ...
가열하고 녹이고 태운 뒤에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얼음을 녹지 않는 범위에서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설탕을 물에 녹이면 안보이게 된다. 과연 없어지는 것일까? 나무가 타면 가벼워지지만 강철, 솜을 태우면 왜 무거워지는 것일까? 물질이 변할 때 각 단계에서 벌어지는 물질세계의 속사정에 대해 알아보자.문제1. 얼음덩어리의 온도를 -10℃에서 -1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