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포인
핵인
inside
P
사람
인간
d라이브러리
"
인
"(으)로 총 3,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뉴스] 화성 지진 감지 4년 착륙선
인
사이트 임무 종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인
사이트 지진계 수석연구원
인
필립 로그노네 프랑스 파리지구물리연구소 연구원은 “
인
사이트를 통해 아폴로 임무 이후 처음으로 지구를 넘어선 지진 연구를 수행했다”며 “우리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고 그 과정에서 배운 모든 것이 자랑스럽다”고 소회를 밝혔다. NASA는 현재 화성에서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매일 가장 빨리 출근하고 있는 기자는 바로 저 신주백 부편집장이랍니다.(유일한 아침형
인
간) 출근 시간은 보통 8시 40분~50분 정도이지요. 야근이 잦은 어린이과학동아에서는 약간의 자율(?) 출근제가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출근 시간은 제각각이지만 대체적으로 야행성 기자들이 많답니다 ... ...
[뉴스&
인
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진은 화성 표토를 모사한 물질과 내열성과 강도를 높이는 소재
인
티타늄 합금을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했다. 100% 레골리스로 만들어진 물체는 쉽게 깨지고 강도가 부족한 반면, 티타늄에 레골리스를 5% 가량 섞어 3D 프린팅 한 부품은 티타늄만으로 만든 부품보다 더 강한 것으로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수 없는 그 질문을 던지고 고찰하며 증명해내는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몫이자 삶
인
듯하다. 과학자를 꿈꾸고 있을 많은 학생에게 조심스럽게 내 경험을 공유하며, 미래의 과학자가 될 그 끈기와 용기를 응원해본다 ... ...
[단편소설] 안스리움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지난 줄거리현세의 자본력에 따라 내세의 등급이
인
간, 동물, 식물로 정해지는 세계에 사는 설진은 가족에 대한 애정이 거의 없다. 식물 등급을 받은 아버지가 ... 설진은 하루빨리
인
간 등급으로 배정받고 싶었다.
인
간 등급을 받아 놓아야지만 그제야
인
간답게 살 수 있을 것만 같았다 ... ...
[특집]
인
공지능과 함께 살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한다”고 짚었다. 이수영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 “AI의 능력이 발전하면
인
간의 능력은 AI의 능력까지도 포함해 성장하는 것”이라며 “AI는 위험하다. 그렇지만 사람만큼만 위험하다. 사람에게서 배우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 ...
[수학 체험 유랑단] 색종이 6장으로 완성한 초간단 정육면체 모빌!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체험하면서 재밌게 수학을 배우고 싶다고요? 그런데 어떤 걸 만들어야 하고,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할지 막막하다고요? 그래서 전국에서 수학 체험 수업으로 소 ... 길이가 a
인
정사각형 18개의 넓이
인
a2 × 18 = 18a2과 한 변의 길이가 a
인
정삼각형 8개의 넓이
인
√3a2/4 × 8 = a2을 더 ...
[이세
인
의 ‘미지의 유
인
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
인
간과 비
인
간 영장류는 얼마나 같고 얼마나 다를까요. 야생의 숲부터 동물원까지, 비
인
간 영장류가 보여주는 진화적 연결고리를 앞으로 6화에 걸쳐 연재합니다.2017 ...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
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1976년까지 자본주의적
인
사상과 문화를 몰아내자며 벌어진 사회주의 운동이다. 이로
인
해 많은 중국의 유적지가 파괴됐고 도시에 사는 청년들을 농촌으로 보내 육체 노동을 시킴으로써 사상을 개조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생겨났다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흡수해 광합성을 하기 때문이죠. 식물의 입장에서 이산화탄소는 일종의 ‘먹거리’
인
셈입니다. 이런 내용은 판도라의 울창한 열대우림과 일치하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베츠 박사는 식물의 빠른 성장이 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봤습니다. 식물 세계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