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초
토대
기틀
근거
근본
저변
d라이브러리
"
터전
"(으)로 총 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에 묻힌 도시를 가동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도시를 지탱해 왔다. 하지만 화석연료가 바닥을 드러내고 지구온난화와 환경파괴로 삶의
터전
인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는 이 시점에서 환경과 에너지의 상생을 이끌어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폐기물을 에너지로 만드는 기술이 그 해법인 셈이다.폐기물 배출량 0%의 도시를 만드는 일은 ... ...
과학으로 본 우리 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예를 들어 고조선의 마지막 왕인 준왕이 좌우에 궁인 10여 명을 데리고 현재 우리 삶의
터전
인 삼한 땅으로 이주해 올 때 그 일행은 배를 이용했다고 기록돼 있다. 또 소백산 넘어 서라벌에 머물던 신라가 끝내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경기만과 중국을 잇는 해상로를 확보해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깊은 애정으로 바라본 외국인이 찍은 사진을 보면서 겸연쩍지만 이를 계기로 우리 삶의
터전
을 새롭게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2004년 ‘하늘에서 본 지구’ 한국 사진전이 계기가 돼 착수한 ‘하늘에서 본 한국’ 프로젝트의 결실로 지난 11월 출간됐다. 1년에 절반을 하늘에서 지내야 하는 살인적인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어나면서 해수면이 상승해 육지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사람들의 삶의
터전
이 점차 줄어들 수 있다. Q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현무암질 마그마가 냉각될 때 고온에서 먼저 정출되는 광물은 처음 마그마의 화학 조성에 비해 이산화규소(SiO2)의 함량이 적고, 철(Fe)과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건너야 해. 언제쯤이 땅의 모든 길을 우리가 안심하고 건널 수 있을까. 아니, 우리 삶의
터전
을 갈라 놓는 저 길은 언제까지 계속 늘어날까.사람들이 길을 만드는 데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거야.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길을 낼 때에는 정말 우리 동물을 위험에 빠뜨려가면서 만들 필요가 있을지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1995년 이후 세계에서 무려 2억 5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자연재해로 목숨을 잃거나삶의
터전
을 잃는 피해를 입었다. 미리 알고 대비할 수는 없었나?안타깝게도 자연재해가 일어나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다. 따라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려면 빠르고 정확하게 자연재해를 예측해야 한다. 그래서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보낼 계획이다. 미래에 달은 NASA를 중심으로 전 세계가 힘을 모은 덕분에 인류의 새로운
터전
으로 거듭날 것이다. ‘달 및 행성 연구소’ 탐방40년간 NASA 달 탐사 지원“지난 40년간 NASA의 달과 행성 탐사를 지원해왔습니다.”미국 휴스턴 존슨우주센터 근처에는 작지만 강한 연구소가 자리하고 있다. ... ...
지진이 불러온 참극의 현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난 5월 12일 중국 서부의 쓰촨성 원촨현에서 리히터 규모 8.0의 강한 지진이 발생했어요. 이번 지진은 지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판 중에서 ... 41명의 소방대원들을 파견해 구조활동을 돕고 있답니다. 지진 피해자들이 삶의
터전
과 가까운 이를 잃은 슬픔을 하루빨리 극복하기를 기원합니다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반박했다. 주로 강 하구나 갯벌을 서식처로 삼는 저어새가 사람의 활동으로 삶의
터전
이 줄어들며 위기를 겪는 것이라고.남미에 서식하는 큰부리새도 극단적인 부리진화의 일면을 보여준다. 몸의 절반이 부리일 정도로 커다란 부리는 가분수의 전형이다. 만일 부리가 포유류의 뼈처럼 속이 꽉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피그미 하마도 1970년대 이후 진행된 마다가스카르 숲의 무분별한 벌채로 삶의
터전
을 잃고 멸종했다. 마다가스카르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나무를 태워 경작지를 만들고 거기에 농사를 짓는 주민이 부쩍 늘었기 때문이다. 현재 마다가스카르 전체 숲의 약 18%정도만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남았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