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현기법"(으)로 총 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500년 전 유럽에서는 화가이면서 동시에 수학자, 과학자였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 같은 융합형 인재들이 새로운 지식과 예술 작품을 만들어냈다. 그런데 21세기인 오늘날에도 수학과 다른 학문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매년 전세계에서 모여 ‘브릿지 학회’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벨기에 플랑드르의 작은 마을에서 네로와 파트라슈는 우유 배달을 하며 어렵게 살고 있었어요.“파트라슈, 배가 많이 고프구나! 새 우유를 줄게. 다 먹은 우유병은 그만 핥아.”파트라슈가 우유병을 핥을 때마다 우유병에 얼룩이 생겼다가 지워지기를 반복했어요. 이걸 본 네로는 번뜩이는 아이디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제아무리 촬영 현장에서 생생한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영화 배경이 우주공간이거나, 등장인물이나 동물(?)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방법이 없다. 그럴 때 든든한 지원군이 ‘VFX’라 부르는 컴퓨터그래픽(CG)이다. 이젠 컴퓨터그래픽이 사용되지 않는 영화를 찾아보기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책을 펼치면 쑥~ 나무가 자라고, 활짝~ 꽃이 핀다. 평평한 종이로 이뤄진 책을 입체적으로 만드는 이것은 ‘팝업아트’다. 종이를 정교하게 자르고 접어, 펼쳤을 때 튀어나오게 만드는 팝업아트는 멋지고 아름다운 입체 조형 작품이다.전 세계 팝업아티스트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세계팝업아 ...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1920년 미국의 유명잡지 ‘리터러리 다이제스트’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6개 주(州)의 거주자에게 엽서를 보냈다. 공화당 후보와 민주당 후보 가운데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지 물었다. 이 잡지는 1924년, 1928년, 1932년까지 대통령 당선인을 정확히 맞췄다. 그러나 1936년 선거에서 문제가 발생했다.1936 ...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김춘수 「꽃」 중에서13년 전 어느 새벽길, 영롱하게 빛나는 아침이슬에 반사된 나비의 모습을 잊지 못한다. 세상의 거친 비바람에도 끝까지 순수를 ...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어떻게 된 거지?’신비의 숲에서 정신을 잃은 앨리스는 영문도 모른 채 낯선 공간에서 눈을 떴다.“착시 미술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당신은 영원히 이 미술관을 벗어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깔깔깔. 이제 모든 것은 당신의 손에 달렸습니다. 행운을 빌…(지지직).”어디선가 기분 나쁜 목소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Math is Beautiful!”수학자들은 수학계의 오래된 난제를 풀거나 수 사이에서 새로운 규칙을 발견했을 때 종종 “Math is Beautiful!”이라는 말을 외친다. 아무리 풀기 어려운 문제도 언제나 답이 있고, 전혀 관련이 없을 것 같은 엉뚱한 곳에서 규칙이 발견되는 수학이 아름답다는 뜻이다.그런데 최근,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여보세요? 112죠? 누군가 납치된 것 같아요!”“뭐라고요? 위치가 어디죠? 정확히 설명해 주세요.”“여기 한국대학교 앞인데요, 어떤 사람들이 아저씨를 강제로 차에 싣더니….”저녁 7시 30분경, 한국대학교 앞에서 누군가 검은 승합차에 실려 납치됐다는 신고 전화가 걸려온다. 납치범은 물론 납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우리가 배우는 수학은 서양 수학의 오랜 전통에 따른 것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에서부터 시작된 수학이 전세계로 퍼졌다. 하지만 아시아에서도 유럽 수학과 별개로 고유의 전통을 가진 수학이 발전했다. 중국은 2500여 년 전부터 십진법을 사용했으며, 인도는 기원전 5000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