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동체
트렁크
구간
신체
체격
전신
뉴스
"
몸통
"(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등의 깃털과 비슷했다. 2번 유형의 피크노파이버는 목, 다리 윗부분, 꼬리와
몸통
이 연결된 부분 등에 나 있었으며 기둥 같은 굵은 섬유 끝에 가늘고 휜 섬유 뭉치가 나 있는 구조였다. 마치 붓처럼 보인다. 길이는 2~13.8mm였고, 전체 굵기는 0.08~0.18mm였다. 3번 유형의 피크노파이버는 길이 4.5~7mm에 ... ...
털 깎은 강아지, 초현실적 비주얼
팝뉴스
l
2018.12.10
뿐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특별한 점은
몸통
의 털을 바짝 깎았다는 사실 뿐이다. 코기의
몸통
은 생각보다 가늘고 긴 완통형이다. 재미있는 사진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우려도 나타낸다. 너무 짧게 깎은 것 같다는 지적이다. 재미있는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좋지만 강아지가 춥거나 불편할 것 같다고 ... ...
알루미늄 전지 상용화 난제 ‘양극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이중결합을 한 유기화학 기능기인 ‘카르보닐기(CO)’ 2개를 마치 더듬이처럼 지니고, ‘
몸통
’은 벤젠 구조 세 개가 결합한 분자를 만들었다. 이 분자 세 개를 서로 연결시키면 삼각형 모양의 유기 분자가 완성되는데, 이 분야에 달린 세 쌍이 더듬이(카르복실기)가, 알루미늄과 염소가 결합한 착이온 ... ...
지하실에서 발견된 좀비 거미
팝뉴스
l
2018.12.08
집 지하실에서 좀비 거미를 발견했다면서 인터넷에 공개한 사진이다. 다리는 모이는데
몸통
도 머리도 볼 수 없다. 또 몸은 하얀색이다. 사진 공개자에 따르면 거미는 하얀 곰팡이에 뒤덮여서 천천히 돌아다니고 있었다고 한다. 반은 살아 있지만 반은 죽은 것이다. 곰팡이균이 거미를 반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공기 중에 떠돌다가 우리가 숨을 쉴 때 몸 안으로 들어온다. 검댕 나노입자는 미세먼지의
몸통
이지만 인체 유해성의 관점에서는 ‘트로이의 목마’인 셈이다. 디젤차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검댕 나노입자(검은색) 표면에 탄화수소/황산화물(녹색), 금속 입자(파란색)가 ... ...
웃는 얼굴의 심해 생명체 ‘화제’
팝뉴스
l
2018.12.03
잡아 올린 물고기 사이에서 이상하게 생긴 생명체를 발견했다고 한다. 지네를 닮은
몸통
도 인상적이지만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것은 이 생명체의 ‘얼굴’이다. 마치 웃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이 바다 벌레는 능글거리면서 사람을 바라보는 것 같다. 웃는 듯한 저 ... ...
투명 개 “내 몸이 보이나요?”
팝뉴스
l
2018.11.27
인기가 높은 사진이다. 사진 속 개는 “투명 개”라고 불린다. 머리는 보이는데
몸통
이 보이지 않는다. 투명 인간이 존재하지 않듯이 투명 개도 실제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사진은 개의 몸 색깔과 배경 색깔이 비슷해 일어난 착시 현상을 담았다. 해외 네티즌들은 개의 표정 ‘연기’가 ... ...
믿을 수 없이 큰 괴물 뱀
팝뉴스
l
2018.11.24
말 그대로 거대한 뱀이다. 괴물 뱀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닐 것 같다.
몸통
이 사람의
몸통
보다 훨씬 두껍다. 몸길이는 4미터는 될 것이라고 네티즌들은 추정한다. 사람을 꿀꺽 삼키는 것이 전혀 어렵지 않을 것 같다. 실물일까. 정말 이렇게 큰 뱀이 존재하며 또 집에서 먹이고 기르는 것이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11.10
스마트폰에서 둥근 모서리와 모퉁이도 곡면으로 재단할 수 있다”며 “현재 스마트폰의
몸통
대비 화면 비율은 80%를 넘는 수준이지만 앞으로는 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베젤이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문제가 하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오류다. 베젤이 줄어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이론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 몸이 열을 계속 빼앗겨 위기라고 판단하면 생존에 직결된
몸통
으로 혈액을 집중하고 손과 발 같은 말단의 혈관은 수축시키기 때문에 손과 발이 먼저 동상에 걸린다. 마찬가지로 미량영양소가 부족해지면 우리 몸은 당장 생존에 필요한 쪽에 우선 제공하기 때문에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